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2

무하선사시고(無瑕禪師詩稿) 무하선사시고(無瑕禪師詩稿) 《無瑕禪師詩稿》는 무하(無瑕)의 문집이다. 무하는 부용영관(芙蓉靈觀)의 5세법손(五世法孫)이라는 사실 이외에는 어떤 인물인지 알 수 없다. 현재 이 문집은 전하지 않고, 다만 그 서문만이 호은집《好隱集》에 실려 있다. 2011. 11. 23.
문수보살 문수보살 불교에서 관음보살, 보현보살과 더불어 주된 신앙의 대상이 되어온 대승보살(大乘菩薩) 중 하나.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문수시리(文殊尸利)의 준말이다. 범어로는 만주슈리(Majushri)이다. 더 줄여서 문수(文殊)라고도 한다. 여기서 문수(文殊)는 묘(妙)하다는 뜻이고 사리는 길상(吉祥)이라는 의미다. 합쳐서 묘길상(妙吉祥)으로 푼다. 문수보살은 석가모니불의 삼존으로 보현보살과 언제나 콤비를 이룬다. 또한 비로자나불의 삼존으로도 보현보살과 더불어 봉안되고 있다. 고로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은 행원(行願)의 상징인 보현보살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이다. 문수보살은 연화대에 앉아 오른손에는 칼을, 왼손에는 청련화(靑蓮花)를 들고 있다. 그리고 용맹과 위엄의 상징인 사자를 타고 있다. 화엄경.. 2011. 11. 23.
백팔염주 백팔염주 실에 108개의 보리수 열매나 구슬 등을 꿰어서 만든 목걸이 형태의 것으로, 절을 하거나 염불 또는 참선 시에 하나씩 돌리면서 108 번뇌와 망상을 없앤다. 관련글 : 염주 (念珠) 목환자경 (木患子經) 2011. 11. 23.
부모은중경 부모의 은혜가 한량없이 크고 깊음을 설하여 그 은혜에 보답하도록 가르치는 경이다. 달리이라고도 한다. 부모의 은혜를 갚기 위해서는 우란분공양을 행하고, 경을 베끼거나 독송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불교가 오히려 부모의 은혜를 더욱강조하는 종교임을 알 수 있게 하는 경전으로 유명하다. 부모은중경 원래 이름은 으로 이름 그대로 해석하면 '부모 은혜에 관해 커다란 지혜의 완성을 교설하는 대승경전'이라는 뜻인데 보통 이라 부른다. 이 경전은 범본도 없고 번역자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위경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러나 중국을 비롯해 우리나라, 일본 등 동양에 널리 보급되어 있고 특히 조선시대 정조임금은 김홍도의 그림까지 곁들인 을 간행하기도 했는데 이 경판이 용주사에 보관되어 있고, 또 현대어로 번역되어 시중에 유통.. 2011. 11. 23.
불사(佛事) 불사 불교를 장엄하기 위해 시행되는 일체의 일. 불사 ⑴부처나 보살에게 예배․ 공양하거나 수계․ 참회 등을 행하는 의식. ⑵ 사찰의 건물을 짓는 일. 2011. 11. 23.
해붕집(海鵬集) 해붕집(海鵬集) 《海鵬集》은 전령 (展翎 ?∼1826)의 문집이다. 전령은 자가 천유(天遊), 호는 해붕(海鵬)이며, 묵암최눌(默庵最訥)의 법을 이었다. 《해붕집》은 1권1책으로, 간행시기와 장소를 알 수 없다. 내용은 법어(法語)와 경찬(敬讚) 131편, 詩 63편, 부록으로 장제(張濟)와 장옹(張瞈)이 쓴〈題海鵬大師詩皼韻〉이 있다. 선대의 조사나 거사, 그리고 당시 생존하던 훌륭한 여러 분들에 대한 찬시만을 따로 모아〈경찬敬讚〉류로 구성한 것이 특이하다. 서발문이나 행장 등은 없다. 2011. 11. 22.
장궤(호궤)합장 불자가 계를 받는 수계식에서 주로 사용하는 무릎을 꿇는 자세인데 일상적으로 두 무릎을 꿇는 자세와는 다른점이 있다. 장궤 자세는 두 무릎을 꿇고 앉되 두 무릎을 땅에 디딘 자세에서 허벅지와 상체가 수직이 되게 곧게 일으켜 세우고 두 발끝은 세워서 발끝으로 땅을 지탱하며 손은 합장을 한 자세를 취한다. 다르마의 스승에 대한 최경례의 자세라고 할 수 있다. 동시에 상구보리(上求菩提) 하화중생(下化衆生)을 서원하는 자세이기도 하다. 이 자세는 다른 종교에서도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관련글 차수 호궤 2011. 11. 22.
호궤 호궤 경례(敬禮)하기 위해 두 무릎을 꿇어 땅에 대고 두 다리를 세우고 몸을 버티는 자세를 말한다. 호궤한 자세에서 합장을 하면 그것을 우리는 호궤합장이라 부른다. 좌우의 두 무픞을 번갈아 땅에 대고 꿇어 앉는 것. 이것은 서역지방과 인도에서의 세속 일반에서 행하는 예법의 하나. 불법에서는 보통으로 왼 무릎을 세우고 오른쪽 무릎을 땅에 대는 좌궤를 하는 것이 본법이나 행사가 오래 걸려서 피로 할 경우에는 이것을 막기위해 호궤를 허락한다. 관련글 : 합장 장궤(호궤)합장 2011. 11. 22.
혜해탈 혜해탈 지혜에 의해서 번뇌장애를 완전히 해탈하는 것이나 해탈하는 자. 또는 지혜로 해탈하여 아라한이 되는 것을 말한다. 관련글 : 해탈(解脫) 아라한 2011. 11.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