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12 아뇩다라삼먁삼보리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아뇩다라삼먁삼보리 (阿耨多羅三藐三菩提) 범어 「Anuttara-samyak-sambodhi」의 음역. 번역하여 무상정편지·무상정편도(구역)·무상정등정각(新譯)이라 함.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를 뜻하며, 그래서 바르고 평등하고 더없이 완벽하다는 뜻. 「아」는 무, 「뇩다라」는 상,「삼」은 정,「막」은 편,「보리」는 도의 뜻. 불과의 지혜를 이름. 범부가 불각인데 대하여 미계를 여의고 각지가 원만하여 일체의 진상을 모두 아는 부처님의 지혜. 2010. 9. 24. 입망(立亡) 입망(立亡) 선채로 열반(涅槃)에 드는 것을 이름. 2010. 9. 24. 일체지(一切智) 일체지(一切智) 3지(三智)의 하나. 일체제법(一切諸法)의 총상(摠相)을 개괄적으로 아는 지혜. 에서는 성문(聲聞)․연각(緣覺)의 지혜라 하고, 에서는 부처님의 지혜라 한다. 2010. 9. 24. 인아 (人我) 인아 (人我) 오온(五蘊)이 화합하여 이루어진 인신(人身)에 실제한 것 같이 생각되는 상일주재(常一主宰)의 아(我)를 말함. 이런 견해를 인아견(人我見), 또는 아견(我見)이라 함. 2010. 9. 24. 이십오행 (二十五行) 이십오행 (二十五行) 25원통을 말함. 부처님이 능엄회상(楞嚴會上)에서 보살(菩薩)․성문(聲聞)에게 너희들이 본래 무슨 법(法)으로 원통(圓通)을 증득(證得)했느냐고 물으며 보살․성문이 각기 얻은 법을 들어 답한 스물다섯 가지(능엄경 5·6) 관련글 : 원통(圓通) 법운원통(法雲圓通) 2010. 9. 24. 의발 (衣鉢) 의발 (衣鉢) ① 의는 3의(승가리·울다라승·안타회), 발은 발우의 뜻. ② 승려의 필수품임으로 후세에는 전법의 대명사가 되어 스승이 제자에게 법을 전하는 것을 의발을 전한다고 함. 2010. 9. 24. 응공 (應供) 응공 (應供) 부처님의 10가지 명호 가운데 하나 범어(梵語) 아라사(阿羅訶)의 음역(譯語) 일체(一切)의 번뇌(煩惱)를 단진(斷盡)하여 인천(人天)의 공양(供養)을 받을 만한 사람 . 부처님의 10가지 명호 가운데 하나 아라한이라고도 번역하며 여래십호 중의 하나로 모든 번뇌를 끊은 까닭에 마땅히 세상의 존경과 공양을 받을 자격이 있는 이를 말한다. 굳은 신념과 줄기찬 정진의 결과로서 모든 번뇌를 끊어버리고 다시는 번뇌를 일으키지 않는 경계에 오른 이를 말하며, 이와 같은 이야말로 하늘과 사람의 어떠한 융숭한 대접이나 공양에도 부끄럼없이 떳떳하게 응할 수 있는 분이기에 붙여진 이름. 아라한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다. * 복밭이신 부처님 부처님은 공양을 받기에 마땅하다. 부처님은 으뜸가는 복밭이고 온 세상.. 2010. 9. 24. 육취 (六聚) 육취 (六聚) 비구 350계(比丘 250戒)와 비구니348계(比丘尼 348戒)를 6가지 종류 나눈 것. ① 바라이 波羅夷 ② 승가바시사 僧伽波尸沙 ③ 바일제 波逸提 ④ 제사니 提舍尼 ⑤ 돌길라 突吉羅 ⑥ 투란차 偸蘭遮 관련글 승가바시사 (僧伽波尸沙) 바라이(婆羅荑) 투란차(偸蘭遮) 2010. 9. 24. 원돈문(圓頓門) 원돈문(圓頓門) 원교(圓敎)와 돈교(頓敎)가 교문(敎門)에 있어서는 가장 높고 깊은 이치를 가르친 것이지만, 말의 자취가 남아 있고 뜻의 길이 분명히 있어 참으로 걸림 없는 이치를 완전히 가르친 것은 못된다. 여기에는 오직 조사선(祖師禪)이 있을 뿐이다. 2010. 9. 24. 이전 1 ··· 326 327 328 329 330 331 332 ··· 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