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2

복전 (福田) 복전 (福田) 복을 낳게 하는 밭이라는 뜻. 부처님이나 비구 등 공양을 받을 만한 법력이 있는 자에게 공양하면 복이 되는 것이 마치 농부가 밭에 씨를 뿌려 다음에 수확하는 것과 같다는 뜻. 이에 2복전, 3복전, 4복전, 8복전등이 있음. 복 밭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중생은 자비의 복 밭이요 삼보는 공경의 복 밭이다. 삼복전(三福田) 삼복전(三福田) 삼복전(三福田) 좋은 일을 짓는 대상의 세가지. 보시 할 때에 보시하는 이는 경작자, 보시하는 물품은 종자, 받는 이는 밭으로 함. (1) 비전(悲田: 빈궁자), 경전(敬田 : 불법승 3보), 은전(恩田 : 부 studybuddha.tistory.com 2010. 9. 24.
법미 (法味) 법미 (法味) 부처님이 설하신 교법은 그 뜻이 깊고 미묘하여 이 법을 체득하면 마음 가운데 쾌락이 생기므로 세간의 맛있는 음식물에 비유한 말. 2010. 9. 24.
법등(法燈) 법등(法燈)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교법. 미(迷)한 세계의 깜깜한 마음을 없애는 것을 등불에 비유한 것. 등명(燈明)은 어둠을 밝히기 때문에 지혜 등에 비유되며, 무명장야(無明長夜)의 등거(燈炬) 등이라 하며, 법맥(法脈)을 잇는다는 뜻으로 법등(法燈)이라는 이름을 붙여 스승이 제자에게 가르침을 전하는 것을 전등(傳燈)이라고 한다. 2010. 9. 24.
백호상(白毫相) 백호상(白毫相) 여래(如來) 32상의 하나. 세존(世尊)의 두 눈썹 사이에 난 희고 빛나는 가는 터럭으로써 광명을 무량세계(無量世界)에 비춘다 함 관련글 : 삼십이상 (三十二相) 2010. 9. 24.
도안 (道眼) 도안 (道眼) 도(道)를 닦아 얻은 안목(眼目). 또는 도(道)를 꿰뚫어 보는 안목(眼目) 2010. 9. 24.
도승(度僧) 도승(度僧) 관(官)에서 도첩(度牒)을 얻은 스님. 옛날에는 관청(官廳)에서 발급하는 도첩(度牒)을 가지고 있어야 정식 스님으로 인정이 되었음. 2010. 9. 24.
대지조(大智照 1048~1116) 대지조(大智照 1048~1116) 중국 여항 전당 사람. 성은 당씨. 자는 담연. 호는 안인자. 대지는 시호. 조는 원조이니 그 이름. 전당의 상부사 혜감율사에게 출가, 율을 배우고 신오처겸을 좇아 천태의 교학을 익힘. 원풍 원(1018)년 3월에 도속 천여인과 함께 뇌봉에 이르러 혜재에게 구족계를 받다. 항상 베옷을 입고 석장을 끌고 발우를 들고 시가에서 걸식, 부처님의 금계를 엄수하였다. 만년에 영지의 숭복사로 옮겨 삼십년을 거하니 세인들의 영지존자라 불렸다. 사의 교를 받은 도속이 항상 삼백인에 달하였다. 후에 중병을 얻어 천태의 십의론을 읽고는 정토를 독실히 믿었다. 송 정화 6(1116)년 9월 1일에 나이 69세로 좌화하다. 저서에 「사분률행사초자지기」42권,「관무량경소」3권, 「지원집」2권 .. 2010. 9. 24.
범종불사(梵鐘佛事) 범종불사(梵鐘佛事) 명종불사 (鳴鍾佛事)라고도 함. 종을 새로 조성한 뒤 처음으로 올려 공양하는 불사 2010. 9. 24.
말후일구(末後一句) 말후일구(末後一句) 줄여서 말후구(末後句)라고도 함. 말후(末後)는 구경(究竟)․필경(畢竟)․구극(究極)․지극(至極)의 뜻. 구(句)는 언구(言句) · 문구(文句)의 뜻으로 종문(宗門)의 활구(活句)를 말한다. 대오철저(大悟徹底)한 극치(極致)에 이르러 지극한 말을 토(吐)하는 것. 2010.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