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2

야차(夜叉) 야차(夜叉) 범어(梵語) Yaksa의 음역(音譯). 팔부중(八部衆)의 하나. 번역하여 위덕․용건․귀인이라 함. 나찰(羅刹)과 함께 비사문천왕(毘沙門天王)의 권속으로 북방(北方)을 수호함. 이에 천야차(天夜叉)․지야차(地夜叉)․허공야차(虛空夜叉)의 3종이 있음. 관련글 천룡팔부 (天龍八部) 야차대왕(夜叉大王) 2010. 9. 23.
천룡팔부 (天龍八部) 천룡팔부 (天龍八部) 용신팔부(龍神八部), 팔부신중(八部神衆), 팔부중(八部衆). 불법(佛法)을 수호하는 여덟 신장(神將)이란 뜻으로 팔부신장(八部神將) 가운데 천룡(天龍)이 상도(上道)가 되므로 이렇게 이름. 마치 유가(儒家)에서 시서육경(詩書六經)이라 하는 것과 같다. 팔부(八部)는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迦)가 그것. 이 팔부(八部)는 모두 사람의 육안(肉眼)으로 볼 수 없기 때문에, 명중팔부(冥衆八部)라 하기도 한다. ① 천(天;Deva) :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삼계(三界)에 걸친 27천 가운데 수미산(須彌山) 정상에 있는 도리천(姦利天 ; 33天)을 말한다. 제석천(帝釋天;I.. 2010. 9. 23.
대삼재 (大三災) 대삼재 (大三災)세계가 괴멸하기 직전에 일어나는 수재(水災), 화재(火災), 풍재(風財)를 일컫는 말.관련글 : 삼재(三災) 삼재(三災)삼재(三災)인도에서 세월을 계산할 적에 상수로 미칠 수 없는 긴 세월을 겁(幼)이라 하고, 그 겁말(劫末)에 일어나는 새가지 재해, 이에 소삼재(도병재, 질병재, 기근재), 대삼재(화재, 수재, 풍재)studybuddha.tistory.com 2010. 9. 22.
아만 (我慢) 아만 (我慢) 범어(梵語) 「Asmimana」의 역어(譯語). 7만(七慢)의 하나. 자기의 재능을 믿고 스스로 뽐내며 남을 업신여김. 관련글 보기 : 교만(橋慢) 2010. 9. 22.
은산철벽(銀山鐵壁) 은산철벽(銀山鐵壁) 은과 철은 뚫기가 아주 힘든 것으로, 높은 산과 견고한 성벽은 오르기 어려움을 나타낸 것. 곧 손도 대어 볼 수 없이 어려움을 말함. 참선하는 이들이 화두(話頭)를 들고 일념(一念)으로 정진할 적에 분석하고 추리하는 분별의 작용을 여의었지만 아직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 중간 경계에서 은산철벽(銀山鐵壁)과 같은 정신상태를 경험하는 수가 있다고 함. 2010. 9. 22.
원교(圓敎) 원교(圓敎) 가장 원만하고 큰 이치를 말씀하여, 밝은 것이나 어두운 것이나 거짓이나 참이나, 높은 것 짧은 것 많은 것 적은 것들이 다르지도 않고 같지도 않아서, 온갖 것이 서로 걸림없고 모든 생물과 무생물이 본래 다 성불한 도리를 밝힌 법문. 그 대표적인 경전은 ,등이다. 관련글 오교(五敎) 2010. 9. 22.
오교(五敎) 오교(五敎) 석가의 일대(一代) 교설을 5종으로 분류하여 설명하는 것. 이는 시대에 따른, 또 사람에 따른 여러 분류 방법이 있다. ① 당(唐)나라 정관(貞觀)연간에 중국에 온 파파밀다라가 설한 사제교(四諦敎:阿含經)․무상교(無相敎:般若經)․관행교(觀行敎:華嚴經)․안락교(安樂敎:涅槃經)․수호교(守護敎:大集經)의 5교, ② 당나라의 법장(法藏)이 설한 소승교(小乘敎:阿含經)․대승시교(大乘始敎:解深密經)․종교(終敎:楞伽經․勝經)․돈교(頓敎:維摩經)․원교(圓敎:華嚴經)의 5교, ③ 유송(劉宋) 원가(元嘉)연간에 도량사(道場寺)의 혜관(慧觀)이 설한 유상교(有相敎:阿含經)․무상교(無相敎:般若經)․억양교(抑揚敎:維摩經)․동귀교(同歸敎:法華經)․상주교(常住敎:涅槃經)의 5교, ④ 제(齊)나라 호신사(護身寺)의 자궤.. 2010. 9. 22.
아함경(阿含經) 아함경(阿含經) 부처의 설교를 모은 초기 불교경전의 총칭. 원어(산스크리트와 팔리어 둘 다 같다)인 아가마(agama)의 음역이다. 아가마는 를 뜻하며, 대대로 전승되어 온 경전을 가리킨다. 석가모니의 언행 및 불제자들의 언행을 함께 모아 엮은 것이다. 원형은 석가모니 입멸 후 곧 정리되었으며, 전승되는 사이에 많은 부분이 부가되었다. 현재의 경전이 성립된 것은 꽤 나중의 일이다. 한역(漢譯)된 것 전체는 장아함(長阿含)․중아함(中阿含)․잡아함(雜阿含)․증일아함(增一阿含)의 4아함이라고 하며, 각각 길고 짧은 많은 경전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밖에 이들의 이역(異譯)이나 일부를 독립시킨 경전도 있는데, 이들 모두가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아함부(阿含部) 2권에 수록되어 있다. 남방불교에는 팔리어.. 2010. 9. 22.
법운원통(法雲圓通) 법운원통(法雲圓通) 진주 롱성 사람. 성은 신씨 법운은 사명. 원통은 호. 이름은 법수. 어려서 출가하여 20세에 능히 화엄경을 강하니 그 성예가 널리 경락에 퍼졌다. 뒤에 남방을 유력하며 무위회선사를 참알, 언下에 종지를 깨치고 십년을 수종함. 뒤에 회의 사면산을 거쳐 진주 장로로 옮겨 동경에 법운사를 이루고 개산하니 이로 말미암아 운문종풍이 조위에 흥기하였다. 그 성품이 강직하여 평생 꾸짓는 것으로써 불사를 삼으니 사람들이 수철면이라 일컬음. 송 원우 5(1090)년 9월 25일에 나이 64세로 입적함. 2010.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