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2

종산철우 (鍾山鐵牛) 종산철우 (鍾山鐵牛) 송나라 염관 사람. 성은 진씨. 자는 원실. 이름은 종인. 호는 북봉(또는 종산) 철우는 별호. 15세에 출가하여 구계를 받고 시에 장하여 당시 사부의 숭앙을 받았다. 송 가정 육61213)년 12월 8일 68세로 송강에서 입적함. 2010. 9. 21.
당래(當來) 당래(當來) 마땅히 올 때라는 뜻으로 장래․미래․내세와 같음. 당래도사 (當來導師) 미륵보살을 지칭하는 말. 다음 세상에 오셔서 세상을 제도하는 보살. 2010. 9. 20.
단월(檀越) 단가(檀家) 단월(檀越) 단가(檀家) 번역하여 시주(施主)라 함. 6도(六度) 가운데 보시(布施)를 행하는 사람. 단(檀)은 단나(檀那)의 약칭. 월(越)은 시주(施主)한 공덕으로 빈궁한 세계를 뛰어 넘는다는 뜻. 단(檀)은 베푼다(施)는 것이니 재물로써 베푼다는 뜻이며, 월(越)은 빈궁한 바다를 뛰어 넘는다는 뜻이다. 「소수(所須)」라고 하는 것은 재물을 보시하는 자가 복을 구하며 죄를 참회하고자 한다는 것을 일컫는다.) 관련글 육도 (六道) 2010. 9. 20.
사상 (四相) 사상 (四相) ① 사람이 겪는 네 가지 相. 즉 생로병사 (生․老․病․死 ) ② 만물이 변화하는 네 가지 相. 즉 생주이멸(生․住․異․滅) ③ 중생이 실재라고 믿는 네 가지 相. 즉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我․人․衆生․壽者相). 이 네 가지 相은 허무하고 거짓된 것으로 이에 미혹(迷惑)되면 중생, 깨치면 부처임 관련글 : 생주이멸(生住異滅) 2010. 9. 20.
십국두수 (十局頭首) 십국두수 (十局頭首) 십국(十局)은 바로 백장 청규(百丈淸規) 가운데 양서요(兩序要). 그를 말한다. 즉 동․서 양당(兩堂)의 수좌(首座)․서기(書記)․장주(藏主)․지객(知客)․도관(都管)․감사(監寺)․부사(副寺)․유나(維那)․전좌(冶座)를 가리킨다. 관련글 백장(百丈 720~814) 지객 (知客) 2010. 9. 20.
시자 (侍者) 시자 (侍者) 장로의 곁에서 친히 가르침을 받으며 그 시중을 드는 이. 아난이 석존의 시자가 된 것이 그 효시이다. 2010. 9. 20.
승광 (僧光) 승광 (僧光) 기주(하북)사람. 상산연공의 제자. 성품이 순박하고 계행을 중히 여겼음. 젊어서 석도안과 교유하였고 석씨의 난에 함께 비룡산(하북 원씨현)에 은거한 뒤에 남으로 진토를 유력하며 널리 교화를 펴다가 병을 얻어 양양에서 卒하다. 2010. 9. 20.
수다라장 (修多羅藏) 수다라장 (修多羅藏) 삼장(三藏)의 하나. 부처님이 설한 교법(敎法)을 모은 책의 총칭(總稱). 수다라(修多羅)는 범어 sutra의 음역(音譯)으로 선(線)․조(條)․ 연(綖)의 뜻이며, 번역하여 계경(契經)․직설(直說)․성교(聖敎)․법본(法本)․선어교(善語敎)라 한다. 관련글 삼장 (三藏) 2010. 9. 20.
소승교(小乘敎) 소승교(小乘敎) 범어 Hinayana. 소승(小乘)이란 작은 수레에 비유한 말, 수레는 사람이나 짐을 삳고 먼 길을 지나 목적지에 다다르게 하는 것인데, 작은 수레는 짐을 조금 싣고 얕은 물밖에 건널 수 없다. 에는 이를 ‘양의 수레’와 ‘사슴의 수레’에 비유했다. 부처님께서 처음 인천교(人天敎)를 말씀하신 다음 얕고 낮은 이치의 길을 가르쳐, 생각을 끊고 마음을 비게 하여 열반(涅槃)의 고요한 즐거움을 얻도록 하셨다. 사제법(四諦法)을 깨치면 성문(聲聞) 혹은 아라한이 되고, 12인연법(十二因緣法)을 깨치면 연각(緣覺)이 된 2승(二乘)이라고도 한다. 소승법을 말한 대표적인 경론으로는 예전부터 · · · 등을 들고 있다. 관련글 : 소승불교(小乘佛敎) 인천교(人天敎) 오계(五戒) 십선(十善) 2010. 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