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2

빙허 (憑虛) 빙허 (憑虛) 빙(憑)은 의탁(依託), 허(虛)는 무(無)의 뜻이니 즉 무(無)를 의지한다 함은 사실이 아닌 거짓을 이름. 2010. 9. 17.
불일 (佛日) 불일 (佛日) 부처님은 능히 중생(衆生)의 치암(痴闇)을 무너뜨리므로 어둠을 물리치는 해(日)에 비유한 말. 2010. 9. 17.
동진(童眞) 동진(童眞) 범어(梵語) Kumarabhuta의 음역. 사미(沙彌)의 별칭(別稱). 또는 동자(童子)를 일컫은 말. 동자(童子)의 성품(性品)은 천진난만(天眞爛漫)하므로 진(眞)이라 이름. 2010. 9. 17.
독거사(禿居士) 독거사(禿居士) 독인(禿人)․독노(禿奴)라고도 함. 독(禿)은 독두(禿頭 :대머리)의 뜻. 거사(居士)는 집에 있는 남자 신도. 즉 계(戒)를 지키지 않고 수행(修行)이 없는 비구(比丘)를 꾸짖는 말. 비록 머리는 깎았으나 사문(沙門)의 행(行)이 없는 것을 이름. 혹은 옷이나 밥을 위하여 머리를 깎고 출가한 이를 가리키는 말. 독두속인(禿頭俗人)․독두거사(禿頭居士). 관련글 사문 (沙門) 2010. 9. 17.
도류(道流) 도류(道流) 불도(佛道)를 수행(修行)하는 사람들. 류(流)는 배(輩)․도(徒)의 뜻. 2010. 9. 17.
도량 (道場) 도량 (道场) ① 부처님이 성도 (成 道) 한 장소 ② 불도를 닦는곳 ③ 일반적인 의미의 사찰 도량을 도장으로 읽는것은 잘못된 것임 도량 (1)절이나 포교원같이 부처님 법을 공부하는 곳. (2)부처님전에 모든 생명체와 살림살이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식과 그것을 행하는 곳을 함께 일컬음. 도량 ⑴붓다가 깨달음을 이룬 곳, 우루벨라 마을의 네란자라 강변에 있는 붓다가야의 보리수(菩提樹) 아래를 말함. ⑵불도(佛道)를 닦는 일정한 구역. 수행하는 곳. ⑶사찰. ⑷부처나 보살에게 예배․ 공양하거나 수계․ 참회 등을 행하는 의식. 나라나 개인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거나 장수․ 명복 등을 비는 의식, 또는 그것을 행하는 곳 2010. 9. 17.
도리천(忉利天) 도리천(忉利天) 욕계 6천의 제2천. 번역하여 33천이라 함. 남섬부주의 위에 팔만유순되는 수미산 꼭대기에 있다. 중앙에 사면이 팔만유순되는 선견성이 있고 이 성안에 제석천이 있으며 사방에 각기 팔성이 있는데 그의 권속인 하늘 사람이 살고 있다. 사방 팔성인 32성에 선견성을 더하여 33이 된다. 이 33천은 반달의 삼재일마다 성밖에 있는 선법당에 모여서 법답고 법답지 못한 일을 평한다고 한다. 키는 일유순, 옷의 무게는 육수, 수명은 일천세, 그 하늘의 일주야는 인간의 백년, 처음 태어났을 때는 인간의 6세되는 아이와 같다 함. 관련글 : 유순(由旬) 2010. 9. 16.
구족 (具足) 구족 (具足) 빠진 것 없이 모두 갖추어 만족한다는 뜻. 사용 예) 원만구족 2010. 9. 16.
괴각 (乖角) 괴각 (乖角) 말이나 행동에 대중의 질서를 지키지 않고 유달리 어긋나는 것. 또는 그러한 사람. 괴각쟁이라고도 한다. 2010.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