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 3212 원증회고 (怨憎會苦) 원증회고 (怨憎會苦) 8고(八苦)의 하나. 원수를 만날 수 밖에 없는 괴로움. 세상에서 받는 고통 중에 자기가 원수라고 생각하는 사람과 만나서 함께 살지 아니 할 수 없는 고통. 관련글 : 팔고(八苦) 팔난(八難) 2011. 6. 22. 원적(圓寂) 원적(圓寂) 스님의 죽음을 뜻함. 모든 번뇌와 고통을 완전히 소멸한 열반의 상태 2011. 6. 22. 본정무루(本淨無漏) 본정무루(本淨無漏) 본래 깨끗하여 번뇌의 더러움을 여읜 것. 중생의 심성(心性)을 가리키는 말 2011. 6. 21. 연기인분(緣起因分) 연기인분(緣起因分) 인분(因分)이라고도 함. 화엄종에서 부처님이 깨달은 경계의 모양은 부처님 이외의 사람은 알 수 없는 것이라 한다. 이에 대해여 부처님의 께달은 경계의 윤곽을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데로 말하여 나타낸 것을 연기인분이라 한다. ↔성해과분(性海果分) 2011. 6. 21. 식독아귀(食毒餓鬼) 식독아귀(食毒餓鬼) 사람을 독살해 재산을 빼앗은 사람이 식독아귀로 환생한다. 인도북쪽의 동굴이나 빙산이 있는 곳에 산다. 겨울에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추운 곳이다. 얼음으로 절여 지거나 칼날이 비처럼 쏟아진다. 여름에는 독으로 절여 지는 고통을 받는다. 2011. 6. 21. 식기아귀(食氣餓鬼) 식기아귀(食氣餓鬼) 혼자서만 맛있는 음식을 먹고 처자식에게는 인색한 사람이 환생하는 아귀. 제단의 공양물 냄새만 맡으며 살아야 하는 비참한 신세가 된다. 공기외에는 먹지도 마시지도 못한다. 식기아귀는 불교가 얼마나 평등무차별의 종교인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평등이란 노소남녀를 뛰어넘는 이데올로기다. 사실 완고한 가정에서의 질서와 화목은 위선과 기만인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부권중심 사회에서 아버지는 가정권력과 더불어 식권력(食權力)까지 전횡했다. 여자들이 부뚜막에서 누룽지밥이나 먹은 게 엊그제다. 여자의 몸으로 태어난 자만이 느낄 수 있는 식기아귀(食氣餓鬼)의 절묘함이다. 2011. 6. 21. 시왕도(十王圖) 시왕도(十王圖) 시왕(十王)은 인간이 죽은 후 가는 명부의 심판관이다. 이들 심판관들을 모아 그린 그림이 시왕도다. 시왕은 진광대왕(秦廣大王) 초강대왕(初江大王) 송제대왕(宋帝大王) 오관대왕(五官大王) 염라대왕(閻羅大王) 변성대왕(變成大王) 태산대왕(泰山大王) 평등대왕(平等大王) 도시대왕(都市大王) 전륜대왕(轉輪大王)으로 무속에서도 깊이 숭배된다. 이중에서 염라대왕이 슈퍼스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종교의 기본속성인 당근과 채찍중 채찍에 해당한다고 보면 된다. 그래서 시왕도는 공포와 전율을 줄 만큼 리얼리틱하게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절에 가서 명부전이나 시왕전이란 현판이 걸린 곳에 가면 잘 볼수 있다. 2011. 6. 21. 인행(因行) 인행(因行) 부처가 되기위한 인(因)이 되는 행. 인위(因位)에서의 수행이나 깨달음을 엮어가는 근본이다. 2011. 6. 20. 스님에 대한 예절 스님에 대한 예절 우리 불교에서는 기본철학 중의 하나가 불법승(佛法僧) 삼보(三寶)에 대한 무한한 경외와 존엄이다. 스님의 나이가 많고 적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속세적인 분별지심도 안된다. 심지어 함부로 스님을 법거량(法擧揚)하면서 저울질해서는 더더욱 안된다. 그저 사바의 속연과 욕망을 모두 버리고 출가하신 것만으로도 스님은 위대한 것이다. 그러나 젊은 스님과 노스님에 대한 예절이 같아선 안된다. 이것은 인간세상과 똑같은 것이다. 만일 똑같이 한다면 젊은 스님이 몹시 당황하게 되고 결국 예절을 갖추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노스님께 대한 예절은 부처님께 하는 공양과 정성 그대로 하면 된다. 노스님방에 들어 갈 때는 세 번 문을 가볍게 두드린다. 그리고 문고리를 잡고 문을 살짝 들어올려 연다. 그.. 2011. 6. 19. 수자외도(壽者外道) 수자외도(壽者外道) 중생뿐만 아니라 돌이나 나무 따위도 수명이 있다고 주장하는 외도의 1파관련글 : 육사외도(六師外道) 삼종외도(三種外道) 외도(外道) 2011. 6. 19. 이전 1 ··· 183 184 185 186 187 188 189 ··· 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