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용어 3212

유일신원리와 다신교원리 유일신원리와 다신교원리 인도인구의 약 80%가 힌두교신자라고 한다. 힌두교는 세계에서 가장 대표적인 다신교 신앙의 원조다. 한마디로 힌두교는 세상에 대한 경외와 감사와 희생의 종교다. 세상만물에 모두 영성과 우주가 깃들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래서 힌두교는 신의 백화점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인도의 신이라면 힌두교의 신이라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세계의 종교는 크게 유일신 원리와 다신교 원리로 나눈다. 이른바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유일신(唯一神)원리의 쌍두마차다. 지금 그들이 처절한 피의 살육과 복수를 주고 받는 것도 바로 유일신 원리에서 비롯된 것이다. 나 아닌 타인의 존재를 인정할 수 없는 종교가 유일신원리다. 그런데 비해 다신교 원리의 민족들은 평화와 공존의 철학을 알고 있다. 왜냐하면 우주만.. 2011. 6. 15.
육적(六賊) 육적(六賊) 번뇌를 일으키는 근원이 되는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의 육근을 도둑에 비유한 말. 2011. 6. 15.
육근(六根) 육근(六根) 대상을 감각하거나 의식하는 여섯 가지 기관과 기능 안근(眼根): 모양이나 빛깔을 보는 시가 기관인 눈. 이근(耳根): 소리를 듣는 청각 기관인 귀. 비근(鼻根): 향기를 맡는 후각 기관인 코. 설근(舌根): 맛을 느끼는 미각 기관인 혀. 신근(身根): 추위나 아픔 등을 느끼는 촉각 기관인 몸. 의근(意根): 의식 기능. 인식 기능. 2011. 6. 14.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유성출가상 (踰城出家相) 싣다르타 태자가 무상을 관하여 수도하고저 백마를 타고 마부를 대동하여 왕궁을 빠져 나가는 장면이 주로 묘사되고 있으며. 여기에 태자를 감시하던 야수부인과 시녀, 오백 장사들이 잠에 취해있는 장면, 태자가 마부 차익에게 궁성을 뛰어 넘을 것을 지시하는 장면, 말을 탄 태자가 성을 뛰어 넘으니 제석천이 호위를 하며 하늘에 오색 광명이 환하게 비치는 장면, 머리카락을 자른 태자가 사냥꾼의 옷과 자신의 비단도포를 바꾸어 입는 장면, 마부 차익이 태자에게 하직 인사를 하고 눈물을 흘리며 태자의 금관과 용포를 가지고 궁궐로 돌아가는 장면, 정반왕과 마야부인, 태자비가 태자의 의관을 받고 슬피우는 장면 등이 묘사된다. 2011. 6. 14.
삼장법사(三藏法師) 삼장법사(三藏法師) 경율논(經 律 論 )의 삼장을 밝게 알고 이를 널리 유포하는 스님 2011. 6. 14.
유명(幽冥) 유명(幽冥) 사람이 죽어서 간다는 세계, 곧 저승. 어둠이나 괴로움을 비유하는 말. 2011. 6. 13.
웨삭제 웨삭제 음력 4월 15일 남방불교 국가에서 붓다의 탄생과 성도(成道), 입멸(入滅)을 함께 축하하는 날 2011. 6. 13.
본상(本相) 본상(本相) 생주이멸(生住異滅)의 4상(四相) 만유제법을 생멸변화하게 하는 근본원리이므로 본상이라 한다. 관련글 : 생주이멸(生住異滅) 사본상(四本相) 2011. 6. 12.
본산(本山) 본산(本山) 한 종파에 딸린 여러절을 총할하는 한 종의 근본 도량. 우리나라에는 일제강점기인 1911년부터 1945년까지 조선총독부에서 발령한 ‘조선사찰령’에 의하여 전국의 사찰을 31본사로 구획하고 본산이란 말을 썼다. 현재는 조계종의 경우 25교구본사로 운영되고 있다. 2011. 6. 12.
고업(古業) 고업(古業) 본디부터 사람에게 존재하는 죄업. 낡은 업. 무시이래 때문에 있는 죄업 2011. 6.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