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 3212 육단심(肉團心) 육단심(肉團心) [범] Hrdaya 4심의 하나。 심장을 말함。 8판(瓣)의 육엽(肉葉)으로 되었다 한다。 의근(意根)이 의탁한 곳. 2024. 5. 28. 경계(境界) 경계(境界) 산스크리트어 viṣaya ①대상,인식 대상, 여러 감각기관에 의한 지각의 대상. 인식이 미치는 범위 ②경지(境地) ③상태 ④범위,영역. 2024. 5. 27. 방부(房付)를 들이다 방부(房付) 들이다 ;수행자가 하안거, 동안거 등 절에 머물며 공부할 것을 인사드리고 허락을 구해 결제(結制)에 참가하다. 2024. 5. 26. 육조혜능 (六祖慧能) 육조(六祖) (638 ~ 713) 중국의 선종(禪宗)은 달마(達摩)대사를 초조로 삼고, 그로부터 육대 되는 혜능(慧能)을 육조라고 한다. 그는 속성이 노(盧)씨고, 지금의 광동성(廣東省) 조경부(肇慶府) 신흥(新興)에서 났다. 세 살에 아버지가 죽고 집이 가난하여 공부하지 못하고, 날마다 나무를 팔아서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스물네 살 때에 장터에서 어떤 사람이 금강경>읽는 것을 듣고 깨친 바 있어 그 사람의 지시로 양자강을 건너 황주부(黃州府) 황매산(黃梅山)에 가서 오조 홍인대사(弘忍大師)를 뵙고, 그의 시키는 대로 여덟 달 동안이나 방아를 찧고 있었다.오조가 법을 전하려고 제자들의 공부를 시험하는데, 교수사(敎授師)로 있는 신수(神秀)는 글 짓기를 「몸은 보리의 나무, 마음은 밝은 거울, 부지런히 .. 2024. 5. 25. 확철대오(廓徹大悟) 확철대오(廓徹大悟) 내가 나를 깨달음. 내가 나의 면목(面目, 부처의 성품)을 깨달음. 2024. 5. 24. 종장(宗匠 ) 종장(宗匠) 수행한 바가 다른 이의 사표(師表)가 될 만하여 법맥을 이어받은 고승(高僧). 2024. 1. 24. 청원 행사(靑原行思) 청원 행사(靑原行思) (? – 740) 속성 유(劉)씨。강서성 길안부(吉安府) 여릉현(廬陵縣)에서 났다。어려서 출가하여 깨친 바 있어, 조계(曹溪)에 가서 육조의 인가를 받고, 대중의 상수(上首)로 있었다. 그리하여 육조 문하의 장로(長老)이더니, 뒤에 그 고향인 길주(吉州) 청원산 정거사(青原山靜居寺)에서 교화하였는데, 육조가 열반한 뒤에 학자들이 그 곳에 많이 모였었다. 당나라 현종(玄宗) 개원(開元) 28년에 입적하였다. 2024. 1. 9. 재각(齋閣) 재각(齋閣) 무덤이나 사당 옆에, 제사를 지내려고 지은 집. 2024. 1. 8. 수각(水閣) 수각(水閣) 입수(入水 들어오는 물)와 출수(出水 나가는 물)가 적절히 이루어져 언제나 음용 또는 세척 등을 위한 깨끗한 물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흐르는 물을 잠깐 가둘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물통. 2024. 1. 7. 상좌 윗사람을 도운다는 뜻. 곧, 한 스승의 제자를 일컬음. 2024. 1. 6. 이전 1 2 3 4 5 ··· 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