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범행
구범행 열반을 중득하기 위한 아홉 가지의 청정한 수행법(修行法)을 말한다. 구난해법(九難解法)이라고도 한다. 첫째, 믿음을 지니는 것 둘째, (계)戒를 수지하는 것 셋째, 법을 많이 듣는 것 넷째는 설법을 하는 것 다섯째, 중생을 성숙시키는 것 여섯째, 대중에게 널리 법을 펼치는 것 일곱째, 사선을 성취하는 것 여덟째, 팔해탈을 역순으로 유행하는 것 아홉째, 유루(有漏)를 버리고 무루(無漏)를 성취함으로서 심해탈(心解脫)과 혜해탈(慧解脫)을 이루고 현법(現法) 중에 자신작증(自身作證)하며, 생사(生死)를 다하고 청정한 행(行)을 완전하게 하며, 모든 것을 분명하게 갖추어서 다시는 유(有)를 받지 않는 것이다. 관련글 ; 열반 (涅槃) 유루무루(有漏無漏) 해탈(解脫) 혜해탈
2011. 11. 21.
운허용하(耘虛龍夏,1892-1980)
운허용하(耘虛龍夏,1892-1980) 근대 대강백, 대장경 한글화의 주역. 평북 정주사람, 성은 李씨 속명은 학수(學洙), 춘원(春園) 이광수의 재종제(再從弟). 어려서 향리에서 한학과 현대학문을 수업하고, 1912년 한일합방에 항거하여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참여하다. 1921년 국내에 잠입하여 활동하다가 강원도 희양군 봉일사(鳳逸寺)로 피신하였다가 경송(慶松 월초:1858-1934,의 제자)에게 득도하다. 그뒤 범어사, 개운사 등지에서 8년간 교학을 공부하다가 다시 상해로 건너가 독립운동에 합류하여 교육사업에 진력하다. 1932년 다시 귀국, 봉선사 홍법강원(弘法講院)에서 36년부터 강석(講席)에 앉다. 1946년 광동학교(廣東學校)를 개설하고 한국전쟁이후 범어사, 통도사, 해인사 등에서 강주(講..
2011.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