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12 구계 구계 구족계의 준말. 계를 갖추어 몸에 지님. 출가한 사람이 받아야 할 완전한 계. 비구와 비구니가 지켜야 할 계를 이른다. 보통 비구는 250계, 비구니는 348계. 구족계를 받을 나이. 20살. 구계방편 구족계 중에서 5계ㆍ8계 등을 뽑아내어서 소질에 맞추어 지키게 하여, 차츰차츰 인도하여 구족계를 갖추기 전의 방편으로 삼는다. 구계정집 10계 중 불계를 제한 다른 9계에서의 중생이 지니는 헤매는 마음. 관련글 : 구족계 2011. 11. 16. 구계가사 구계가사 결가사ㆍ부동가사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면서 수행하는 스님이 목에 거는 윤가사로서, 9개의 매듭이 있으며, 그것으로써 9계의 중생을 맺어서 제도하는 뜻을 가지게 한다고도 하며, 혹은 금강계 9회 만다라를 표시한다고도 한다. 관련글 : 분소의(糞掃衣) 가사(袈裟) 2011. 11. 16. 구경최승 구경최승 보살의 10가지 수행(10바라밀)이 가장 훌륭한 까닭의 하나. 제 10지에서 보살의 수행이 궁극에 이르러 원만하게 이루어지고, 또 여래지에서 세존은 일체 세계의 스승이 되어 원만이 되는 점에서 가장 훌륭함을 말한다. 관련글 : 보살(菩薩) 구경각 십지(十地) 2011. 11. 16. 교화지익 교화지익 5덕공문의 제 5, 원림유희지문을 말한다. 신통으로써 교화의 지에 이르러, 고뇌하고 있는 중생을 생사의 범위에서 구제할 수 있는 환상회향의 덕. 2011. 11. 15. 괴견 괴견 괴는 깨뜨린다는 뜻. 견은 명지에 의하여 사리를 분명히 구별하는 것. 따라서 번뇌에 의하여 사리의 분별을 잘못함을 말한다. 2011. 11. 15. 봉송의식 봉송의식 천도재에서 시련의식으로 소중히 모셔왔던 부처와 보살,영가를 다시 잘 가시도록 하는 의식으로 천도재의 다른 의식이 주로 의식승에 의해 행해지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참여한 모든 대중이 다함께 이 의식에 참여 한다는 특징이 있으며 그 절차로는 봉송 의식문을 법주가 독송하고 나면 의식에 참여하였던 대중은 법주의 뒤를 따라 법성게를 독송하면서 10바라밀의 방향으로 행렬을 지어돈다. 보례게,행기게 등을 독송하면서 꽃을 흩날리는 산화락으로 막을 내리게 된다. 2011. 11. 15. 광장륜상 광장륜상 대일여래가 진언을 설하려고 법계(우주)에 널리 안 닿는데가 없는 넓고 긴 혀를 내어, 그 말씀이 진실함의 증거로 삼는다. 관련글 : 대일여래 진언(眞言) 법계(法界) 2011. 11. 15. 법성종 법성종 신라 문무왕(文武王)때 원효(元曉)가 분황사(芬皇寺)를 중심으로 창종했다. 일명 성종(性宗)이라고 한다. 그러나 역시 종파가 아니고 학종(學宗)으로 보아야 한다. 관련글 : 원효(元曉/617~686.3.30) 오교(五敎) 오교구산 2011. 11. 15. 보현보살 보현보살 석가모니불을 오른쪽에서 보좌하는 보살로, 한량없는 행원(行願)을 상징함. 보현보살 감정이나 본능에 치우치지 않는 슬기로운 마음과 깨달음의 덕을 갖추고 석가모니를 돕는 보살. 보통 흰코끼리를 타시고 석가모니불 오른쪽에 계신 분. 보현보살 관음, 문수, 지장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보살 중 행원(行願)을 상징하는 보살. 언제나 문수보살과 함께 삼존불 시스템을 이룬다. 한산(寒山)과 습득(拾得)의 일화도 문수와 보현의 화현으로 보기도 한다. 그만큼 문수와 보현은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이다. 그러나 단독으로도 신앙과 숭배의 대상이 된다. 범어로는 사만타바드라. 흔히 보현(普賢)으로 의역된다. 부처님의 이덕(理德)과 정덕(定德)과 행덕(行德)을 담당한다고 한다. 화엄경에 따르면 보현보살은 비로자나불 아래에서.. 2011. 11. 15. 이전 1 ··· 153 154 155 156 157 158 159 ··· 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