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12 마(魔) 마(魔) 악마․악귀 등을 뜻함. 산스크리트 mara의 음역인 마라(魔羅)의 약어이다. 장애자(障碍者) · 살자(殺者) ·악자( 惡者)라 번역. 불가사의한 힘을 가지고 나쁜 일을 행하며 사람의 착한 일을 방해하는 귀신을 가리킨다. 불교에서는 마의 내관적(內觀的) 의미로 번뇌 등 중생을 괴롭히는 것을 마(魔)라 하고, 자기 심신(心身)에서 생기는 장애를 내마(內魔), 외계로부터 가해지는 장애를 외마(外魔)라 한다. 관련글 : 마군(魔軍) 2010. 9. 11. 동산양개 (洞山良价 807~869) 동산양개 (洞山良价 807~869) 중국 唐나라 때 禪僧. 청원행사(靑原行思)하의 四世인 운암담성(雲巖曇晟)의 법통을 이어받은 후계자. 俗性은 兪氏. 저장성(浙江省) 會稽 출생. 어릴 때 출가하여 오설령묵(五洩靈墨)에서 참선하고, 20살 때 崇山에 올라가 具足戒를 받았다. 뒤에 남천보원(南泉普願)․위산영우(潙山靈祐)에게 사사(師事)하고 더욱이 후난성(湖南省)에 있는 운암산(雲巖山)의 담성(曇晟)의 가르침을 받았는데, 강을 건널 때 물 위에 자신의 그림자가 비치는 것을 보고 진리를 깨달아 그 법(法)을 계승하였다. 그 뒤, 각지를 돌아다니면서 회창(會昌)의 폐불(廢佛)을 산시성(山西省) 기주(箕州)로 옮기고, 마침내 장시성(江西省)의 동산(洞山)에 들어가 보리원(菩提院)을 열었다. 시게(詩偈)에 뛰어나고 .. 2010. 9. 11. 대다라니 (大陀羅尼) 대다라니 (大陀羅尼) 내용이 긴 진언. 예) 신묘장구 대:다라니 짧은 말은 진언이라고 함. 관련글 다라니(陀羅尼) 2010. 9. 11. 당래도사 (當來導師) 당래도사 (當來導師) 미륵보살을 지칭하는 말. 다음 세상에 오셔서 세상을 제도하는 보살. 오는 세상에 이 세계에 나서 중생을 교화할 대도사. 곧 미륵보살. 미륵보살은 지금부터 56억 7천만년을 지난 후에 이 세계에 출현해 성도하고 중생을 교화한다고 함. 당래(當來)는 마땅히 올 때라는 뜻으로 장래․미래․내세와 같음. 관련글 : 당래(當來) 미륵보살(彌勒菩薩) 2010. 9. 11. 대천세계(大千世界) 대천세계(大千世界) 대천계(大千界)․대천국토(大千國土)․대천(大天)이라고도 함.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란 한 우주를 말한다. 구사론(俱舍論)에 『4대주(四大洲)와 해와 달, 수미산과 육옥천(六欲天) 초선천을 모두 천곱한 것을 소천세계(小千世界)라 부르고 이 소천세계(小千世界)의 천배를 중천세계라하고 이 중천세계의 천배를 대천세계라 한다.』하였다. 말하자면 넓고 넓은 공간에 향수해(香水海)라는 큰 바다가 있고 그 바다에는 여러 개의 사대주가 그룹을 지어있고 이 사대주를 중심으로 여덟개의 향수해가 있으며 그 향수해 사이사이 마다 일곱 겹의 산이 둘러 있는데 그것을 칠금산이라 한다. 또 그 칠금산 밖으로 한개의 대철위산이 해와 달보다 높이 솟아 마치 어떤 집의 담과 같이 둘러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옆의.. 2010. 9. 11. 칠각 (七覺) 칠각 (七覺) 칠보제분(七菩提分),칠각분(七覺分) 칠각의(七覺意)라고도 함. 불도(佛道)를 수행하는데 지혜로써 참되고 거짓되고 선하고 악한 것을 살펴서 가려내는 일곱 가지 ① 택법각분(擇法覺分) ② 정진각분(精進覺分) ③ 희각분(喜覺分) ④ 제각분(除覺分) ⑤ 사각분(捨覺分) ⑥ 정각분(定覺分) ⑦ 염각분(念覺分) [장아함 제8, 잡아함 제26] 관련글 : 칠각지(七覺支) 2010. 9. 11. 팔정도 (八正道) 팔정도 (八正道) 팔성도지(八聖道支)․팔정도지(八正道支)․팔정도분(八正道分)의 약칭. 불도를 실천 수행하는 여덟 가지 중요한 종목. 중생이 고통의 원인인 탐(貪)․진(瞋)․치(痴)를 없애고 해탈(解脫)하여 깨달음의 경지인 열반의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서 실천 수행해야 하는 8가지 길 또는 그 방법. 이것은 원시불교의 경전인《아함경(阿含經)》의 법으로, 석가의 근본 교설에 해당하는 불교에서는 중요한 교리이다. 팔정도는 니르바나에 이르는 길 뿐만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훌륭한 인격을 완성하는 방법이다. 말씨만 바른 말씨를 써도 그의 인격은 훌륭해진다. 여기에 생각과 행동이 반듯하고 정견까지 갖춘다면 그는 한 집단의 표준이 된다. 고통을 소멸하는 참된 진리인 8가지 덕목은 정견(正見) : 올바로 보는 것 정사유.. 2010. 9. 11. 소승불교(小乘佛敎) 소승불교(小乘佛敎) 범어 Hinayana. 소승(小乘)이란 작은 수레에 비유한 말, 수레는 사람이나 짐을 싣고 먼 길을 지나 목적지에 다다르게 하는 것인데, 작은 수레는 짐을 조금 싣고 얕은 물밖에 건널 수 없다. 에는 이를 ‘양의 수레’와 ‘사슴의 수레’에 비유했다. 부처님께서 처음 인천교(人天敎)를 말씀하신 다음 얕고 낮은 이치의 길을 가르쳐, 생각을 끊고 마음을 비게 하여 열반(涅槃)의 고요한 즐거움을 얻도록 하셨다. 4제법(四諦法)을 깨치면 성문(聲聞) 혹은 아라한이 되고, 십이인연법을 깨치면 연각이 된 이승이라고도 한다. 소승법을 말한 대표적인 경론으로는 예전부터 · · · 등을 들고 있다. 관련글 : 대승불교(大乘佛敎) 인천교(人天敎) 오계(五戒) 십선(十善) 법화경, 묘법연화경(法華經, 妙法.. 2010. 9. 11. 대승불교(大乘佛敎) 대승불교(大乘佛敎) 범어 Mahayana. 대승이란 큰 수레를 뜻한다. 큰 원과 큰 뜻을 세워 나를 희생해서라도 모든 이웃을 즐겁고 평안하게 건져 주겠다는 보살심 있는 이들을 위해, 육바라밀을 닦아 가도록 깊은 이치를 말한 법문이다. 그 대표적인 경전은 등이다. 이 법문들의 내용은 이 세상에 여러 가지 사물이 벌어져 있는 것 같지만, 사실은 낱낱의 현상 그대로 다 평등하여 열반이고, 따라서 무엇이나 걸릴 것이 없다고 말하고 있다. 소승의 열반이 소극적이며 이기적이어서 작고 얕은 것이라면, 대승의 열반은 적극적이며 이타적이어서 크고 참된 것이다. 한 중생도 남김없이 모두 제도한 후에야 자신도 성불하겠다는 비원이야말로 대승의 보살심이다 관련글 : 바라밀 (婆羅蜜), 보살도(菩薩道), 자리이타(自利利他) 소승.. 2010. 9. 11. 이전 1 ··· 348 349 350 351 352 353 354 ··· 3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