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12

유루무루(有漏無漏) 유루무루(有漏無漏) 불교 용어. 산스크리트로 유루는 사스라바(sasrava), 무루는 아나스라바(anasrava)이다. 루(asrava)는 더러움․번뇌라는 뜻이며, 따라서 본래 유루란 번뇌에 오염된 것, 무루는 번뇌에 오염되지 않은 것을 뜻한다. 사스라바(유루)라는 말은 원시불교성전(原始佛敎聖典)에는 드물게 나타나고, 소승불교(小乘佛敎)가 되고 나서 일반화되었다.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小乘部派의 하나)는 이것들을 이용해 일체법을 분류하고 유루․무루의 규정을 여러 가지로 발전시켰지만, 결국 4~5세기에 세친(世親)의《구사론(俱舍論)》에서 라는 규정으로 정립되었다. 이에 따르면 외계는 모두 유루법이고, 인간에 관해서도 범부(凡夫)의 마음과 몸은 모두 유루법이다. 또 부처같은 성자의 신체도 유루법이고(왜냐하면.. 2010. 9. 11.
원효(元曉/617~686.3.30) 원효(元曉/617~686.3.30) 신라 때의 승려. 속성 설(薛). 법명 원효, 아명 서당(誓幢)․신당(新幢). 설총(薛聰)의 아버지. 압량(押梁:慶山郡) 출생. 648년(진덕여왕 2) 황룡사(皇龍寺)에서 승려가 되어 수도에 정진하였다. 가산을 불문에 희사, 초개사(初開寺)를 세우고 자기가 태어난 집터에는 사라사(沙羅寺)를 세웠다. 650년(진덕여왕 4) 의상(義湘)과 함께 당나라 유학길에 올랐는데 중도에 고구려 순찰대에 붙잡혀 실패하였다. 661년 의상과 다시 유학길을 떠나 당항성(唐項城:南陽)에 이르러 한 고총(古塚)에서 잠을 자다가 잠결에 목이 말라 마신 물이, 날이 새어서 해골에 괸 물이었음을 알고 사물 자체에는 정(淨)도 부정(不淨)도 없고 모든 것은 마음에 달렸음을 대오(大悟)하고 그냥 돌아.. 2010. 9. 11.
원통(圓通) 원통(圓通) 널리 두루 통함으로 방해됨이 없는 것. 지혜에 의해 깨달은 진여(眞如)의 도리는, 그 본질이 원만하여 널리 모든 존대에 두루하고 그 작용은 자재하여 방해됨이 없이 모든 존재에 작용하기 때문에 그 도리를 원통이라 한다. 또 지혜로 진여의 도리를 널리 깨닫는 수행을 원통이라고 하기도 한다. 수능엄경 권5에는, 25성자가 각기 육진, 육근, 육식, 칠대를 의지하여 원통의 행을 닦는다고 하고, 그 수행에는 우열이 없다고 함. 이 25종의 원통의 행을 25원통이라고 한다 관련글 : 이십오행 (二十五行) 법운원통(法雲圓通) 2010. 9. 11.
원력 (願力) 원력 (願力) 본원(本願)의 힘이란 뜻. 부처님이 보살 때에 세운 본원이 완성되어 그 힘을 나타내는 힘. 부처님이 중생의 괴로움을 덜어주고자 하는 기원의 힘. 부처님께 원하는 바를 빌어 이루려는 믿음에서 생겨나는 힘. 부처님께서 중생을 바른 길로 인도하고자 서원한 것에서 비롯된 뜻으로, 중생들이 자기가 하고자하는 뜻을 부처님 전에 맹세하고 기원하는 것. 본원력(本願力)․숙원력(宿願力)․대원업력(大願業力)이라고도 함 2010. 9. 11.
오욕 (五慾) 오욕 (五慾) 색성향미촉 (色․聲․香․味․觸)의 오경(五境). 이 다섯 가지가 모든 욕망(慾望)을 일으키므로 욕(慾)이라 함. 또는 진리(眞理)를 더럽히기 때문에 진(塵)이라고도 한다. 재욕(財欲)․색욕(色欲)․탐욕(貪欲)․명욕(名欲)․수면욕(睡眠欲)의 다섯 가지 욕심. 본래 한물건 없는 가운데에서 무단히 상(相 )을 보며, 다시 생명을 보며 분별하고 호오를 보며 취사 집착하여, 본래 걸림없이 자유스럽고 스스로 원만한 자기의 본곳을 등지고 항상 바깥으로 달리어 얻기에 허덕이는 것이 중생인 것이다. 이 밖으로 얻고져 구하고 치달리는 중생의 마음 취향이 곧 욕심인데 이 욕심을 크게 다섯가지로 나누어 오욕이라 한다. 이 오욕의 근본은 곧 탐(貪)이며 탐의 근본은 애(愛) 며, 애의 근본은 우리 본성(本性)의 .. 2010. 9. 11.
갈애(渴愛) 갈애(渴愛) 애갈(愛渴)과 같음. 범부(凡夫)가 목마르게 오욕(五欲)에 애착(愛着)하는 일. 관련글 : 오욕 (五慾) 2010. 9. 11.
안거(安居) 안거란 여름-겨울 두차례 3개월씩 정진 안거는 인도에서 수행자들이 질병이 창궐하는 우기에 한 곳에 모여 수행한데서 유래했다. 그래서 우안거(雨安居)라고도 한다. 하지만 불교가 중국을 거치면서 여름과 겨울 두 차례씩으로 자리잡았고, 선이 꽃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이어져 내려와 1천여 년의 전통을 갖고 있다. 안거기간동안에는 해인총림 등 5대 총림을 비롯해 전국의 80여 선원 약 1700여명의 수좌들이 용맹정진에 들어간다. 우리나라의 경우 1년에 두 차례 안거가 있는데, 여름 수행을 하안거, 겨울 수행을 동안거라고 한다. 안거는 일반적으로 3가지 정진이 있다. 하루 8∼10시간의 일반정진, 하루 12∼14시간하는 가행정진, 그리고 해제를 앞두고 용맹정진을 하는데 1주일 동안 매일 12시간 이상 참선을 해야.. 2010. 9. 11.
가방화주(街坊化主) 가방화주(街坊化主) 약하여 화주(化主) 또는 가방(街坊)이라고도 함. 거리에 나가 여러 사람에게 시물(施物)을 얻으면서 사람들로 하여금 법연(法緣)을 맺게 하는 동시에 그 절에서 쓰는 비용을 구해 들이는 이. 관련글 화주 2010. 9. 11.
화엄종(華嚴宗) 화엄종(華嚴宗) 중국 당(唐)나라 때에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며, 천태종(天台宗)과 함께 중국 불교의 쌍벽을 이룬다. 동진(東晉) 말 북인도 출생의 승려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가《화엄경》을 한역한 이래《화엄경》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특히 511년 인도의 논사(論師) 세친(世親)의 저서《십지경론(十地經論)》을 모두 완역한 것을 계기로 지론종(地論宗)이 성립되었는데, 이는 화엄종 성립의 학문적 기초가 되었다. 한편《화엄경》을 사경(寫經)․독송(讀誦)하는 화엄 신앙과, 이 신앙에 근거하는 신앙 단체인 화엄재회(華嚴齋會)도 발생하여 화엄종 성립의 기반이 성숙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두순(杜順)은 종래의 화엄에 대한 교학적 연구보다 실천적․신앙적 입장을 선양하여 화엄종의 제1조가.. 2010.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