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나578

길상천 (吉祥天) 길상천 (吉祥天) 중생에게 복을 준다는 여신. 행운의 여신 락슈미를 말한다. 길상천녀의 준말. 2010. 12. 27.
관심 (觀心) 관심 (觀心) 자기 마음의 본 성품을 꿰뚫어 보는 것. 마음은 만법(萬法)의 주체로서 모든 것은 마음과 관계되므로 마음을 관찰하는 것은 곧 일체법(一切法)을 관찰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사(事)와 이(理)를 관찰하는 것을 모두 관심(觀心)이라 일컬음. 2010. 12. 27.
공덕법신 (功德法身) 공덕법신 (功德法身) 부처님은 여러 가지의 수행을 닦음으로써 그 공덕으로 법신을 얻었다는 의미. 법신(法身)이란 진리의 본체로서의 부처님. 2010. 12. 27.
견(見) 견(見) 생각하고 추구(推求)하여 사리(事理)를 결택하는 것. 정견(正見)과 사견(邪見)에 모두 통하나 흔히 편견(偏見)에 쓰임. 2010. 12. 27.
게(偈) 게(偈) 부처님의 공덕(功德)과 교리(敎理)를 노래 글귀로 찬탄한 것. 3언(三言)․4언(四言) 내지 수언(數言)을 불문하고 반드시 사구(四句)로써 문의(文義)를 갖춘 것을 이름. 게송 2010. 12. 27.
고고 (苦苦) 고고 (苦苦) 고고를 짧게 읽으면 춥고, 굶주리고, 매맞고, 힘든 일을 하는 등의 괴로움을 말한다. 2010. 12. 27.
고덕(古德) 고덕(古德) 고성선덕(古聖先德)의 뜻. 옛날 여러 불조(佛祖)를 가리킴. 또는 옛날 학덕(學德)이 높은 승려의 존칭. 대덕(大德)과 같음. 학식(學識)과 적망(德望)이 뛰어난 고승(高僧)의 존칭(尊稱). 고승대덕 2010. 10. 4.
고구(苦具) 고구(苦具) 괴로움을 받는 제구의 뜻으로 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수라(修羅)의 4취(四趣)를 말함. 2010. 10. 4.
고공무상무아 (苦空無常無我) 고공무상무아 (苦空無常無我) 고(苦)는 공(空)하고 무상(無常)하며 무아(無我)하다는 뜻. 또 비상고공비아라고도 한다. 16행상 중의 고성제에서의 4가지의 행상. 일체만유는 다 핍박성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고, 내 것이라고 간주할 것이 없기 때문에 공, 변천해서 마지 아니하므로 무상, 영구적인 주체가 없기 때문에 무아라고 한다. 2010. 10. 4.
계품(戒品) 계품(戒品) ① 5계 10선계(五戒․十善戒) 등 계(戒)의 품류(品類). ② 계(戒)를 밝힌 편장(篇章)의 이름. 품자(品者), 류야(類也). 비구250계(比丘二百五十戒), 속위팔류(束爲八類), 고운계품(故云戒品) (品은 종류(類)이다. 비구는 2백5십 가지 계가 있으며 이를 묶어서 여덟 가지 종류로 나누니, 그 까닭에 계품戒品이라 일컫는 것이다.) 2010. 1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