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221 무상계 무상계 모든 것은 고정된 것이 없이 생겨났다 없어졌다 하며 변화해 간다는 이치를 이르는 계율. 관련글 : 무상(無常) 2012. 1. 4. 만덕산백연사제이대정명국사후집(萬德山白蓮社第二代靜明國師後集) 만덕산백연사제이대정명국사후집(萬德山白蓮社第二代靜明國師後集) 《萬德山白蓮社第二代靜明國師後集》은 천인(天因 1205∼1248)의 문집이다. 제목으로 보아 전집(前集)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후집(後集)은〈미타찬게 彌陀贊偈〉와〈법화수품찬게 法華隨品贊偈〉로 되어 있다. 발문(跋文)이 있으나 뒷부분이 결락(缺落)되었다. 2011. 12. 3. 문사수혜(文思修慧) 문사수혜(文思修慧) 들어서 얻는 지혜, 생각해서 얻는 지혜, 실천 수행하여 얻는 지혜의 3가지 지혜를 말한다. 2011. 12. 2. 만자문 만자문 만자문은 연화문과 더불어 불교를 상징하는 대표적 문양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길상(吉祥)과 만덕(萬德)을 나타낸다. 원래 인도에서는 이 문양을 슈리바트사라고 불렀다. 불교의 중국전래에 따라 중국에 들어와서는 만(萬)으로 통일됐다. 만자(卍字)는 모두 네가지가 있다고 한다. 첫째는 길상해운(吉祥海雲)을 상징하는 슈리바트사. 둘째는 오른쪽으로 선회하는 난디아바타라. 셋째는 행복을 상징하는 스바스티카. 넷째는 물병모양의 푸르나가타이다. 특히 만자문은 히틀러의 나치문양인 하켄크로이츠와 비슷해 오해를 사는 경우가 있다. 하켄크로이츠는 만자문과는 달리 왼쪽으로 누웠고 반대로 돈다. 그러나 사실 두 문양의 기원과 뿌리는 같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기본적으로 고대신앙의 최고신인 태양신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아리.. 2011. 12. 1. 밀교의 융성 밀교의 융성 대승블교의 두 학파가 학문불교로서 변화해 가면서 초기의 신선함을 잃는 것과 함께 밀교(密敎)가 일어나 마침내 인도 불교의 주류를 이루었다. 밀교란 비밀불교란 뜻으로 주술적인 의례를 통해서 신비주의적인 교의를 설법하는 가르침이다. 이미 원시불교 무렵부터 인도 일반사상의 영향을 받아 주술적 요소가 불교에 침입해 특히 재가신자들 사이에서 그것을 배제하는 일은 불가능했었다. 재가신자들에게서 흥했던 대승불교에서는 더더욱 그런 경향이 심했다. 한편에서는 공과 같은 심오한 철학을 탄생시키면서도 경전은 대부분 다라니 따위의 주문을 설교했으며 그 효과를 가르쳤다. 부처님의 법신이란 이론도 이런 범신론적 경향에서 신비주의와 쉽게 결합하고, 오히려 신비주의적 해석 안에 불교의 구극적 입장이 있다고 생각했다. 이.. 2011. 11. 29. 무하선사시고(無瑕禪師詩稿) 무하선사시고(無瑕禪師詩稿) 《無瑕禪師詩稿》는 무하(無瑕)의 문집이다. 무하는 부용영관(芙蓉靈觀)의 5세법손(五世法孫)이라는 사실 이외에는 어떤 인물인지 알 수 없다. 현재 이 문집은 전하지 않고, 다만 그 서문만이 호은집《好隱集》에 실려 있다. 2011. 11. 23. 문수보살 문수보살 불교에서 관음보살, 보현보살과 더불어 주된 신앙의 대상이 되어온 대승보살(大乘菩薩) 중 하나. 문수사리(文殊師利) 또는 문수시리(文殊尸利)의 준말이다. 범어로는 만주슈리(Majushri)이다. 더 줄여서 문수(文殊)라고도 한다. 여기서 문수(文殊)는 묘(妙)하다는 뜻이고 사리는 길상(吉祥)이라는 의미다. 합쳐서 묘길상(妙吉祥)으로 푼다. 문수보살은 석가모니불의 삼존으로 보현보살과 언제나 콤비를 이룬다. 또한 비로자나불의 삼존으로도 보현보살과 더불어 봉안되고 있다. 고로 지혜의 상징인 문수보살은 행원(行願)의 상징인 보현보살과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이다. 문수보살은 연화대에 앉아 오른손에는 칼을, 왼손에는 청련화(靑蓮花)를 들고 있다. 그리고 용맹과 위엄의 상징인 사자를 타고 있다. 화엄경.. 2011. 11. 23. 만자(卍字) 만자(卍字) ‘부처님의 성덕(聖德)과 길상(吉祥)의 상징’ 만자(卍字)는 불교를 상징하는 표식으로 부처님이 지닌 성덕(聖德)과 길상(吉祥)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기원과 내용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보통 태양이나 흐르는 물의 상징으로 보기도 하고 둥글게 선회하는 모발의 형상이라고도 하며, 신령한 빛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기도 한다. 많은 학자들은 이 표시가 인도불교에만 있었던 고유 상징이 아니고, 인도 고대신화 속에 등장하는 태양의 신 비쉬누(Vishnu)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실제, 이 표지는 유럽·아프리카 등 전 세계 전역에서 그 모양을 찾아볼 수 있다. 《화엄경》 제48권에서는 만자에 대해 “여래의 가슴에는 훌륭한 분의 특징인 ‘만자’모양이 있다. 이것을 길상해운(吉祥海雲.. 2011. 11. 19. 묵암집(默庵集) 묵암집(默庵集) 《默庵集》은 최눌(1717∼1774)의 문집이다. 최눌의 자가 이식, 호가 묵암이며, 풍암세찰의 법을 이었다. 《묵암집》은 3권1책으로, 순조 원년(1801)에 간행되었다. 권초에는 5언절구·7언절구·5언4운·7언4운 등의 詩가, 卷中에는 書가, 권후에는 소·권선문·상양文·서·상소, 기타 잡저가 있다. 그런데 卷後 부분은 원래《내외잡저》에서 선취한 것이며, 《내외잡저》는 현전 여부를 알 수 없다. 서는 양주익(1801)이, 발은 지족거사(1801)가 썼으며, 교평이 후발과 행장을 썼다. 2011. 11. 14. 마왕 마라 마왕 마라 욕계에서의 가장 높은 하늘인 타화자재천의 주인이다. 온갖 욕망을 싫증나도록 즐기는 신들의 최고위에 있는 신으로서 그 이름은 파피마라고 한다. 관련글 : 타화자재천 욕계(欲界) 욕계육천(欲界六天) 2011. 11. 14. 이전 1 ··· 5 6 7 8 9 10 11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