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99

상행당[常行堂] 상행당[常行堂] 천태종에서 말하는 4종 삼매(三昧)의 하나인 상행 삼매를 닦는 집. 본존은 아미타불. 반행반좌삼매(半行半坐三 昧)를 닦는 법화당(法華堂)과의 중간에 회랑(回廊)을 사이에 두고 접속하였으므로 양당(堂)을 하당(荷堂)이라고도 함. 2023. 7. 21.
상판(上板) 상판(上板) 우리 나라 절에서 큰 방의 옷목. 굴뚝쪽 한면을 말함. 벽에는 오관(五觀)이라 썼고, 손님격(客格)되는 이들이 앉는 곳. 2023. 7. 7.
심광(心光) / 심념(心念) 심광(心光) ↔색광(色光). 내광(光)・지혜광(智慧光)이라고도 함. 지혜의 밝음을 광명에 비유. 심념(心念) 내심(內心)으로 생각함. 2023. 4. 22.
심련(心蓮) / 심마(心魔) 심련(心蓮) 심련화(心蓮華)라고도 함. 모양이 마치 연꽃처럼 되었다 해서 이렇게 이름. 심마(心魔) 번뇌마(煩惱魔). 번뇌의 악마가 세간과 출세간의 좋은 법을 해치므로 심마적(心魔賊)이라 함 2023. 4. 19.
심근(心根) 심근(心根) 범 Manas 또는 심평등근(心平等根). 수론외도(數論外道)가 우주 만유의 개전(開展)을 설명하는데 25체(諦)를 세운 것 중에서 심의(心意)의 분별 작용을 분립(分立)한 것. 곧 분별을 체(體)로 하여, 5지근(知根).5작근(作根)과 함께 일어나 대경을 동일하게 반연함. 불교의 5구의식(俱意識)과 같다. 2023. 4. 17.
심(心) 심(心) 범 Citta ↔ 색(色). 심왕(心)·심소(心所)로 나누면, 대경의 특수상(特殊相)을 인취(認取)하는 심소에 대하여, 의식 작용의 본체이며, 대경의 일반상(一般相)을 인지(認知)하는 정신작용을 말함. 이 심에 심(心)·의(意)·식(識)의 이름을 붙이기도 하며, 또 분류하여 6식(識). 8식 •9식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또 4심(心) 으로 나누기도 함. 2023. 4. 16.
심구삼천색구삼천 (心具三千色具三千) 심구삼천색구삼천(心具三千色具三千) 조송 (趙宋) 때의 천태종(天台宗)에 대한 산가파(山家派) • 산외파(山外派)가 주장하는 이의(異議)의 하나. 1. 심구삼천은 산외파의 원청 •경소·지원 등의 주장. 의 처지에서 색(色)• 심(心) 중, 오직 일념 (一念)의 심성(心性)에만 3천의 온갖 법을 원구(圓具)한다 하고, 마음 밖의 색법 곧 물질계의 낱낱에는 이를 허락하지 아니함. 2. 색구삼천은 산가파의 지례(知 禮) 등의 주장. 의 처지에서 색 심의 낱낱 법에 모두 3천의 온갖 법을 원구한다고 말함. 2023. 4. 16.
심광섭호(心光攝護) 심광섭호(心光攝護) 부처님의 자비한 마음 보호하는 것. 광명중에, 염불하는 이들을 이끌어 들여 보호하는 것 2023. 4. 15.
심(尋) / 심구(心垢) 심(尋) 자기 앞에 나타나는 사상(事象)에 대하여 그 의리(義理)를 탐구하는 정신 작용. → 심사. 심구(心垢) 마음을 더럽히는 진구(塵垢). 곧 번뇌 2023. 4. 14.
수륜(水輪) 수륜(水輪) 3륜의 하나. 땅 밑에 있어 대지를 바치고 있는 물. 풍륜 위에 있으며 길이는 11억 2만유순. 넓이는 지름 12억 3천 4백 5십유순, 둘레 36억 1만 3백5십유순이라 함. 2020.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