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599 설산(雪山) 설산(雪山) 인도 북쪽에 뻗힌 큰 산. 산 꼭대기에 언제나 눈이 있으므로 이렇게 이름. 히말라야 산의 옛 이름. 관련글 : 설산수도상 설산동자 2019. 7. 19. 실법(實法) 실법(實法) 잠깐있는 존재를 가법이라 함에 대하여 상항불변(常恒不變)하는 법을 말함. 비유하면 5온을 실법, 이것의 집합체인 가유(假有)의 존재(가법)이라 함. ↔가법(假法) 2019. 7. 15. 수진(水塵) 수진(水塵) 물속을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을 만큼 작은 티끌. 금진(金塵)의 7배. 극미진(極微塵)의 343배. 2019. 7. 12. 수타라(首陀羅) 수타라(首陀羅) 인도 사성계급의 하나. 아리야 민족에게 정복당한 토착민. 가장 천한 업에 종사한다. 맨 낮은 층에 속하는 노예계급들. 2019. 7. 12. 성숙겁(星宿劫) 성숙겁(星宿劫) 3대겁(大劫)의 하나. 현재의 대겁인 현겁(賢劫) 다음에 올 미래의 대겁. 이 겁 중에 일광불로부터 수미상불까지 1천 부처님이 출현하는 것이 하늘의 별과 같다고 해서 이렇게 이름. 2019. 3. 18. 상야등(常夜燈) 상야등(常夜燈) 밤마다 부처님 앞에 켜는 등. 밤낮 끊임없이 켜는 등명(燈明)에 견주는 것. 2018. 12. 8. 삼종지(三種智) 삼종지(三種智)세간지(世間智) : 법부, 외도의 지혜출세간지(出世間智) : 성문, 연각의 지혜출세간상상지(出世間上上智) : 제불 보살의 지혜 2018. 8. 6. 삼사(三思) 삼사(三思) 우리가 사유(思惟)하는 정신작용을 셋으로 나눈 것. 심려사(心慮思) ; 어떤 일을 할 것인가, 안할 것인가를 곰곰이 생각함. 결정사(決定思) ; 이 일은 꼭 할 것이라고 생각하여 결정 함. 동발승사(動發勝思) 신(身) 어(語)의 동작을 일으킴. 2018. 8. 4. 선문(禪門) 선문(禪門)1. 선종2. 선정(禪定)의 문에 들어간다는 뜻. 불문에 들어간 이를 말함. 관련글 구산선문(九山禪門)의 개창구산선문(九山禪門) 2018. 3. 11. 수연(水煙) 수연(水煙) 탑의 구륜(九輪) 꼭대기에 얹는 불꽃 형상의 장식품. 이를 수연이라함은 예로부터 공장(工匠)들이 화재를 꺼리는 관습에 의하여 특히 불에 인연있는 이름을 꾀하여 이렇게 이름. 탑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대개 구륜의 꼭대기에는 수연이 있다. 2018. 1. 25. 이전 1 2 3 4 5 6 7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