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99

산주(山主) 산주(山主) 산의 주인이란 뜻. 한 절의 주지를 말함. 절에는 무슨 산이라는 이름이 있으므로 이렇게 이름. 2020. 9. 15.
사범복(四梵福) 사범복(四梵福) 범천에 태어나는 네가지 복행(福行) 1. 불사리를 공양하기 위해 탑을 세움. 2, 스님네를 공양하기 위해 의식주를 이바지함. 3. 스님네의 쟁론을 말려 화합하게 함. 4. 온갖 생물에 대하여 4무량심을 닦음. 사무량심(四無量心) 사무량심(四無量心) 사무량심(四無量心) 사무량심(四無量心)이란 자(慈), 비(悲), 희(喜), 사(捨)를 말하는 것으로 이것은 타인을 대할 때 그 마음을 어떻게 갖느냐 또는 어떻게 쓰느냐 하는 마음가짐, 마음 씀씀이의 � studybuddha.tistory.com 범천(梵天) 범천(梵天) 범천(梵天) 깨달은 자에게 법을 설해 달라고 권하고, 불법을 기리며 보호하는 신. ⑴색계의 초선천(初選天), 곧 범중천(梵衆天)․ 범보천(梵輔天)․ 대범천(大梵天)을 통틀어 일컬.. 2020. 9. 14.
사사(四事) 사사(四事) 공양하는 4가지. 1. 의복, 음식, 와구, 탕약 2. 의복, 음식, 산화, 소향 3. 방사(房舍), 음식, 의복, 산화소향 관련글 ; 와구(臥具) 사사공양(四事供養) 사사공양(四事供養) 사사공양(四事供養) 4가지 공양. 의복, 음식, 탕약, 와구의 4가지를 말함. 와구대신 방사를 넣기도 한다. 관련글 : 공양(供養) 사사공수 (四事供須) 와구(臥具) studybuddha.tistory.com 2020. 7. 28.
사리쌍수염불(事理雙修念佛) 사리쌍수염불(事理雙修念佛) 사(事)와 이(理)를 쌍으로 닦는 염불. 사를 닦는 것은 입으로 부처님 명호를 부르는 것. 이(理)를 닦는 것은 불신(佛身)을 관하는 것. 곧 입으로 외우며 마음으로 관찰하여 쌍으로 닦는 것. 관련글 : 염불(念佛) 실상염불(實相念佛) 염불삼매(念佛三昧) 관념염불(觀念念佛) 2020. 7. 27.
세속지(世俗智) 세속지(世俗智) 10지(智)의 하나. 세속은 세간 일반이란 뜻. 세간 일반의 사물을 대상으로 하여 분별 인식하는 슬기. 관련글 : 유루지(有漏智) 2019. 11. 11.
색광(色光) 색광(色光) 불보살의 몸에서 놓는 광명 ↔심광(心光) 2019. 10. 27.
색자재지(色自在地) 색자재지(色自在地) 10지(地)중 제8지의 다른 이름. 색성(色性)이 자재하여 걸림이 없다는 뜻. 2019. 8. 6.
신녀(信女) 신녀(信女) 불도를 믿고 3귀의, 오계를 받은 세속의 여성 = 청신녀와 같은 뜻. 2019. 8. 5.
세안(世眼) 세안(世眼) 부처님의 다른 이름. 부처님은 지혜가 원만하고 5안(眼)을 구족하여 인간의 안목이 되어 지도함으로 이렇게 이름. 2019. 7. 21.
설설(舌舌) 설설(舌舌) 경문등을 외울적에 군데 군데서 자구(字句)를 생략하고 음성을 길게 줄여서 부르는 것. 2019. 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