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44

오욕 (五慾) 오욕 (五慾) 색성향미촉 (色․聲․香․味․觸)의 오경(五境). 이 다섯 가지가 모든 욕망(慾望)을 일으키므로 욕(慾)이라 함. 또는 진리(眞理)를 더럽히기 때문에 진(塵)이라고도 한다. 재욕(財欲)․색욕(色欲)․탐욕(貪欲)․명욕(名欲)․수면욕(睡眠欲)의 다섯 가지 욕심. 본래 한물건 없는 가운데에서 무단히 상(相 )을 보며, 다시 생명을 보며 분별하고 호오를 보며 취사 집착하여, 본래 걸림없이 자유스럽고 스스로 원만한 자기의 본곳을 등지고 항상 바깥으로 달리어 얻기에 허덕이는 것이 중생인 것이다. 이 밖으로 얻고져 구하고 치달리는 중생의 마음 취향이 곧 욕심인데 이 욕심을 크게 다섯가지로 나누어 오욕이라 한다. 이 오욕의 근본은 곧 탐(貪)이며 탐의 근본은 애(愛) 며, 애의 근본은 우리 본성(本性)의 .. 2010. 9. 11.
안거(安居) 안거란 여름-겨울 두차례 3개월씩 정진 안거는 인도에서 수행자들이 질병이 창궐하는 우기에 한 곳에 모여 수행한데서 유래했다. 그래서 우안거(雨安居)라고도 한다. 하지만 불교가 중국을 거치면서 여름과 겨울 두 차례씩으로 자리잡았고, 선이 꽃핀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이어져 내려와 1천여 년의 전통을 갖고 있다. 안거기간동안에는 해인총림 등 5대 총림을 비롯해 전국의 80여 선원 약 1700여명의 수좌들이 용맹정진에 들어간다. 우리나라의 경우 1년에 두 차례 안거가 있는데, 여름 수행을 하안거, 겨울 수행을 동안거라고 한다. 안거는 일반적으로 3가지 정진이 있다. 하루 8∼10시간의 일반정진, 하루 12∼14시간하는 가행정진, 그리고 해제를 앞두고 용맹정진을 하는데 1주일 동안 매일 12시간 이상 참선을 해야.. 2010. 9. 11.
일원상 (一圓相) 일원상 (一圓相) 원상(圓相)이라고도 함. 중생에게 원래부터 갖추어져 있는 깨달음의 모습을 상징하기위해 선종에서 둥근 원의 형태를 사용하여 원만,구족,지공,무사,평등의 근본자리를 표현한다. 중생의 마음은 빛깔도 없고 형상도 없어 장(長)․단(短)․방(方)․원(圓)으로 표현할 수 없으나 마음이 평등 주원(周圓)하다는 뜻을 표시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표상한 것. 우주 만물의 근원 또는 시작도 끝도 없는 하나의 근본을 뜻하는 법을 상징하는 둥근 원. 깨우친 분들의 진리가 담긴 일원상을 바라보며 참선하는 것이 깨우침을 위한 수행 방법으로 사용되곤 한다. 2010. 9. 10.
왕사성(王舍城) 왕사성(王舍城) 고대 인도 마가다국의 수도. 원명은 라자그리하(Rajagr․ha)이다. 현재의 비하르주 중앙부에 있는 라지기르에 해당된다. 빔비사라(Bimbisara;頻婆娑羅)왕에 의하여 조영(造營)된 것으로 알려진 옛 성터와, 그의 아들 아자타샤트루(Ajatasatru;阿闇世)왕이 쌓은 새 성의 유적이 있다. 7세기의 현장(玄獎)은 거듭되는 화재 때문에 새로이 성을 건설하였다고 傳하고 있다. 근처에 석가가 재세 중 종종 머물렀던 죽림정사(竹林精舍, 빔비사라왕이 희사한 불교 최초의 사원)를 비롯하여 빔비사라왕이 유폐되었던 곳으로 알려진 감옥(監獄)이 있다. 또 옛 성의 동쪽에는 영취산(靈鷲山, 산정이 독수리 모양과 비슷하고 독수리가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이, 서쪽에는 바이바라언덕이 있다. 이 언덕의 칠엽.. 2010. 9. 10.
아견(我見) 아견(我見) 신견(身見)이라고도 함. 범어(梵語) 몰예달리슬치「沒曳達利瑟致」의 譯語. 나(我)라 함은 오온(五蘊)의 가화합(假和合)으로서 참으로 나(我)라고 할 것이 없는데 내가 있는 줄로 잘못 아는 견해. 2010. 9. 10.
인천교(人天敎) 오계(五戒) 십선(十善) 인천교(人天敎) 부처님께서 설법하실 때에 처음에는 깊은 진리를 말씀하지 않고, 나쁜 짓을 하지 말고 착한 일을 하여 오계(五戒)를 지키면 성인이 되고, 십선(十善)을 닦으면 천상에 태어나 복을 받게 된다는 것을 가르쳤다. 오계(五戒)란 불교에 귀의하는 재가신도(在家信徒)가 받는 5가지 계율. ① 생명체를 죽이지 말라(不殺生) ② 남의 것을 훔치지 말라(不愉盜) ③ 음행하지말라(不邪淫) ④ 거짓말을 하지 말라(不妄語) ⑤ 술을 마시지 말라 이다. 십선(十善)이란, 십선도(十善道) 또는 십악(十惡)을 범하지 않는 제계(制戒)를 말한다. ① 산 목숨을 죽이지 말라. ② 훔치지 말라. ③ 음행하지 말라. ④ 거짓말하지 말라. ⑤ 두 말 하지 말라. ⑥ 악담하지 말라. ⑦ 교묘하게 꾸미는 말을 하지 말라. ⑧ 탐.. 2010. 9. 10.
욕계(欲界) 욕계(欲界) 삼계 가운데 가장 아래에 있으며 성욕․식욕․수면욕 등의 3가지 욕망을 가진 생물들이 사는 곳이다. 윤회 가운데 있는 6가지 존재 모습 중 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인간(人間) 등 5가지와 사왕천(四王天)․도리천․야마천(夜摩天)․도솔천(兜率天)․화락천(化樂天)․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등의 육욕천(六欲天)이 여기에 속한다. 관련글 삼계 삼계(三界) 윤회(輪廻) 육도 (六道) 2010. 9. 9.
육도 (六道) 육도 (六道) 육취(六趣)와 같음. 중생이 업의 원인(業因)에 따라 필연적으로 윤회하는 여섯 세계. ① 지옥(地獄) ② 아귀(餓鬼) ③ 축생(畜生) ④ 아수라(阿修羅) ⑤ 인간(人間) ⑥ 천상(天上) 불교의 중생관. 중생이 업인(業因)에 따라 윤회하는 길을 지옥(地獄)․아귀(餓鬼)․축생(畜生)․인간(人間)․아수라(阿多羅)․천(天) 등 6가지 존재양상으로 분류하여 육도라고 한다. 중생이 몸과 말과 뜻으로 속세에서 어떠한 업을 지었는가에 따라 태어나는 곳이 달라지게 된다. ① 지옥(地獄)은 육도 중 가장 고통이 심한 곳으로 분노심을 일으켜 남에게 해를 입힌 사람이 태어나는 곳이며, ② 아귀 (餓鬼)는 굶주림과 목마름으로 상징되는 세계로 생전에 욕심을 부리고 보시를 하지 않은 사람이 태어나는 곳이다. ③ 축생.. 2010. 9. 9.
육근(六根),육식,(六識),육경(六境) 육식(六識) 불교에서 육근(六根)에 의해 육경(六境)을 지각하는 6가지 마음의 작용. 산스크리트 샤드비주냐나(s․ad․―vijnana)를 번역한 말이다. 즉 유식종(唯識宗)에서 마음의 작용을 여덟으로 나눈 가운데서 객관의 대상을 감각 지각하는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의 총칭이다. 육경은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을 말하며, 육근은 육식을 일으키는 6가지 인식기관, 즉 안근(眼根)․이근(耳根)․비근(鼻根)․설근(舌根)․신근(身根)․의근(意根)을 말한다. 관련글보기 말나식 (末那識) 아마라식(阿摩羅識) 아뢰야식 (阿賴耶識) 2010. 9. 9.
이입사행(二入四行) 이입사행(二入四行) 선종(禪宗)의 승려가 깨달음을 얻기 위해 관조하고 실천하는 가장 근본적인 가르침. 중국 선종의 초조(初祖) 달마(達磨)가 지은 《이입사행론(二入四行論)》과 신라의 원효(元曉)가 쓴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에 그 내용이 있다. 《이입사행론》에서는 ①二入이란 중생은 누구나 참된 마음바탕인 진성(眞性)을 가지고 있으나 번뇌망상에 뒤덮여 잘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깊이 믿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전제 아래 망념을 버리고 몸과 마음을 집중하여 벽관(壁觀)을 行하면 무념무심(無念無心)이 되어 자타(自他)와 범성(凡聖)에 대한 분별이 없어지고 글이나 말에 끌려다니는 일이 없게 된다. 그리하여 이치와 일치하는 경지에 이르게 되어 무위의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②四行에 대하여는.. 2010.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