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548 육취 (六聚) 육취 (六聚) 비구 350계(比丘 250戒)와 비구니348계(比丘尼 348戒)를 6가지 종류 나눈 것. ① 바라이 波羅夷 ② 승가바시사 僧伽波尸沙 ③ 바일제 波逸提 ④ 제사니 提舍尼 ⑤ 돌길라 突吉羅 ⑥ 투란차 偸蘭遮 관련글 승가바시사 (僧伽波尸沙) 바라이(婆羅荑) 투란차(偸蘭遮) 2010. 9. 24. 원돈문(圓頓門) 원돈문(圓頓門) 원교(圓敎)와 돈교(頓敎)가 교문(敎門)에 있어서는 가장 높고 깊은 이치를 가르친 것이지만, 말의 자취가 남아 있고 뜻의 길이 분명히 있어 참으로 걸림 없는 이치를 완전히 가르친 것은 못된다. 여기에는 오직 조사선(祖師禪)이 있을 뿐이다. 2010. 9. 24. 왕생(往生) 왕생(往生) 이 세상에서 쌓은 공덕으로 죽어서 부처님이 살고 계신 청정한 국토에 태어남. 생명의 빛이 꺼지면 다른세계에 가서 태어 나는 것을 일컫는다. 극락왕생. 시방왕생 도솔왕생들이 있다. 정토교는 이것을 목적으로 하는 가르침이며 다른 대승불교에서도 깨달음을 얻기위한 수단으로 설한다. 2010. 9. 23. 오역죄 오역죄 오역 (五逆) 오역죄․오무간업이라고도 함. 이에 삼업통상오역(또는 소승오역)․대승별도오역․동류오역 · 제파오역 등이 있었으나 보통 오역이라 하면 ① 출불신혈 ② 살부 ③ 살모 ④ 살아라한 ⑤ 파화합중을 일컬음. 이 다섯 가지의 죄악을 범하면 무간지옥에 떨어진다고 함. 소승 5역죄: ① 어머니를 살해하는것 ② 아버지를 살해하는것 ③ 아라한을 죽이는것 ④ 악심을 품고 부처님의 몸에서 피가나게 하는것 ⑤ 승가의 화합을 깨뜨리는것 대승5역죄 : ① 탑사를 파괴하여 경전과 불상을 불태우고 삼보의 물건을 빼앗고 혹 은 그와 같은 짓을 사람에게 시키고 기뻐하는것. ② 성문. 연각의 소승불법과 대승의 법을 비방하는것. ③ 출가자가 불법을 닦는 것을 방해하고 혹은 그를 죽이는것 ④ 소승의 오역죄중 한가지 죄를 범하는것,.. 2010. 9. 23. 오비구 (五比丘) 오비구 (五比丘) 석존이 출가하는 데 부왕의 명으로 태자를 모시고 함께 고행하든 이로 부처님이 성도하신 후 처음 교화를 베풀어 비구가 된 다섯 사람. 즉 교진여․아습파․발제․십력가섭․파사파. 혹은 교진여․아습파․발제․마가남․파사파를 이름. 관련글 : 아야교진여 2010. 9. 23. 열반경 (涅槃經) 열반경 (涅槃經) 대반열반경의 약칭. 내용은 부처님의 입멸에 대하여 설한 경전. 석존께서 입멸직전 라자가하에서 구시나가라까지 가는 동안의 행적과 입멸에 대해서 말한 경전이다. 여기에 소승과 대승의 두가지 열반경이 있다. 소승의 열반경은 주로 역사적으로 기록한 것으로 입멸 전후에 걸쳐 유행(遊行), 춘다의 공양, 발병(發病), 자등명, 자귀의, 법등명, 법귀의의 설법, 최후의 유훈(遺訓), 멸후의 비탄, 사리 8분(分) 등을 그 주요 내용으로 하며, 대승의 열반경은 교리를 주로 하고 열반이란 사실에 불탄론의 종극, 불교의 이상을 묘사하고 있다. 곧 법신이 상주(常住)한다는 근저에는 불성의 본구(本具)와 보편을 역설, 적극적으로 열반을 상락아정(열반의 4가지 덕)이라 하여 소극적인 열반론에 반대하는 태도이다.. 2010. 9. 23. 여래사 (如來使) 여래사 (如來使) 부처님이 입멸(入滅)한 후 경법(經法 : 여래가 설한 설법)을 널리 펴는 자를 이름. 2010. 9. 23. 언망여절(言亡慮絶) 언망여절(言亡慮絶) 절대의 깨달음의 세계를 표현하는데 쓰이는 말로, 언어에 의해서 표현할 수도 사고(思考)로 생각하여 짐작할 수도 없다는 의미. 언로도단(言路不到)․신심노절(心言路節)․절언절사(節言節思)․명언도단(名言道斷)․언어도단 심행처멸(言語道斷 心行處滅)등이라고 하는 것은 다 이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말이다. 관련글 : 언망여절(言亡慮絶) 언어도단(言語道斷) 2010. 9. 23. 애하(愛河) 애하(愛河) 애욕(愛欲)은 사람의 마음을 빠뜨리게 하므로 하수(河水)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또는 탐애(貪愛)하는 마음이 물질에 집착하여 떠나지 않는 것을 마치 물기가 물에 점점 젖어드는 것과 같으므로 하수(河水)에 비유한 것. 2010. 9. 23. 야차(夜叉) 야차(夜叉) 범어(梵語) Yaksa의 음역(音譯). 팔부중(八部衆)의 하나. 번역하여 위덕․용건․귀인이라 함. 나찰(羅刹)과 함께 비사문천왕(毘沙門天王)의 권속으로 북방(北方)을 수호함. 이에 천야차(天夜叉)․지야차(地夜叉)․허공야차(虛空夜叉)의 3종이 있음. 관련글 천룡팔부 (天龍八部) 야차대왕(夜叉大王) 2010. 9. 23.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