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파75

편양당집(鞭羊堂集) 편양당집(鞭羊堂集) 《鞭羊堂集》은 언기彦機(1581∼1644)의 문집이다. 언기의 호는 편양鞭羊이며, 휴정의 법을 마지막으로 전수받았으면서도 이후 최대의 문벌을 형성하였다. 《편양당집》은 3권1책으로, 인조仁祖 25년(1647)에 백운암각白雲庵刻 용복사장판龍腹寺藏板의 간본刊本이 전한다. 권1에는 5언절구·5언율시·7언절구·7언율시 등의 詩가, 권2에는 記·行狀·跋·勸善文·說 등이, 권3에는 疏·表·書 등이 실렸다. 詩보다는 文이 더 많은 비중을 가진 점이 특징이다. 文이 양도 많고 종류도 다양하다. 東州山人 李敏求가 序를 썼고(1647), 권1의 말미에 있는 跋은 常山後人이 썼다(1647). 2011. 3. 13.
팽주 팽주 절집뿐만 아니라 속가에서 차를 달이는 사람을 이른다. 다회(茶會)에서 차를 내는 사람도 팽주라 한다 2011. 3. 13.
피안교 피안교 열반의 저 언덕에 가기위해 건너는 다리. 피안은 고해의 이쪽 언덕 건너편에 있는 진리와 지혜의 광명이 충만한 불.보살의 세계를 말한다. 2011. 3. 4.
평등대왕 평등대왕 명부 시왕의 하나로 염마왕, 염라대왕의 별칭이며 공평하게 죄와 복을 판단하여 선한 이를 상주고 악한 이를 벌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시왕탱화에서는 녹색 상의에 주홍 법의를 입고, 왼손으로 수염을 잡고 오른손으로는 홀을 잡고 업경대 앞에 책을 펴 놓고 있는 모습으로 아랫부분의 거해지옥에서 옥졸이 죄인의 배에 톱질을 하는 모습, 지옥 중생을 구제하는 지장보살의 모습과 함께 묘사된다. 2011. 3. 4.
편단우견 편단우견 통견에 반대되는 말로 줄여서 편단이라고도 하는데 오른쪽 어깨를 내어 보이고 왼쪽 어깨만 덮는 가사 착용법의 하나이다. 공경의 대상 앞에서 겸손을 표하는 착의예법으로 문득 한쪽어깨를 들어내 보이는 것을 말하며 금강경에서는 제자가 부처님께 질문에 앞서 편단우견하고 우슬착지한 자세로 예경을 표하는 대목이 나온다. 가사(袈裟) 2011. 3. 4.
팔부 신중 팔부 신중 불법을 수호하는 8가지 신. ⑴ 천: 천계를 지키는 수호신 ⑵ 용:물 속을 지키며 바람과 비를 관장하는 신. ⑶ 야차: 사람을 도와주는 신. ⑷ 건달바: 약을 주는 병을 고쳐주는 신. ⑸ 아수라: 조복을 받아 선신의 역할. ⑹ 가루라: 새벽이나 태양을 인격화한 신화적인 새. ⑺ 긴나라: 말의 머리로 표현되는 가무의 신. ⑻ 마후라가: 사람의 몸에 뱀의 머리를 가진 음악의 신. 땅 속의 모든 요귀를 물리치는 힘이 있다. 관련글 천룡팔부 (天龍八部) 긴나라 야차(夜叉) 건달(乾達) 2011. 3. 4.
타근(垜根) 타근(垜根) 타(垜)는 발뒤꿈치, 근(根)은 나무 뿌리를 말하는 것으로 곧 한 곳에 머물러 있는것을 의미한다. 2011. 3. 1.
파참재(罷參齎) 파참재(罷參齎) 공부를 마치고 조사의 인가(印加)를 받을 때 베푸는 재연. 2011. 2. 23.
택법각지(擇法覺支) 지혜로 모든 것을 살펴 선한 것은 택하고 악한 것을 버리는 일 관련글 : 염각지(念覺支) 칠각지(七覺支) 2011. 2. 21.
태산대왕 명부 시왕의 하나로 본래의 법신은 약사여래로서 왕신을 명도에 나타내어 죄인이 태어날 곳을 정해 준다고 한다. 시왕탱화에서는 오른손에 수염을 잡고 왼손에는 홀을 잡고 산수병풍 앞에 바르게 앉아 있는 모습으로 녹사, 판관, 귀왕 등의 옹호와 아랫부분에 대애지옥의 장면과 힘께 묘사된다 2011.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