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35

화성(化城) 화성(化城) 법화7유(法華七喩)의 하나. 소승(小乘)의 열반(涅槃)에 비유한 말. 에 있는 말로서 여러 사람이 보배있는 곳을 찾아가다가 그 길이 험하여 사람들의 피로해 하므로 그때 길잡이 하든 사람이 한 계교를 내어 신통력으로 임시로 큰 성를 나타내어 여기가 보배 있는 곳이라 하니 여러 사람들은 대단히 기뻐하며 이 성에서 쉬었다. 길잡이는 여러 사람의 피로가 회복됨을 보고는 화성을 없애버리고 다시 참으로 보배가 있는 곳에 이르게 하였다는 비유. 2010. 9. 21.
향상일로 (向上一路) 향상일로 (向上一路) 깨달음이 지극한 것. 향상은 진보(進步), 일로는 대도(大道)를 이르는 말이니 곧 종문(宗門)의 극처(極處)를 뜻함. 2010. 9. 21.
해행(解行) 해행(解行) 지해(知解)와 수행(修行)을 아울러 일컫는 말. 불교의 인식적(認識的) 부문, 곧 수행하는 사람이 지혜의 힘에 의하여 이륜교의(理論敎義)를 료해(了解)하는 것을 해(解) 또는 해문(解門). 실천적(實踐的) 부문, 곧 그 료해(了解)한 것을 몸소 실천에 옮기는 것을 행(行) 또는 행문(行門). 이 둘은 수행하는 이가 필히 갖추어야 할 것이므로, 옛부터 해(解)를 눈에 행(行)을 발에 비유하여 지목행족(知目行足)이라 한다. 안심(安心)과 기행(起行). 곧 신앙과 이와 함께 일어나는 행동을 말함. 2010. 9. 21.
화엄종(華嚴宗) 화엄종(華嚴宗) 중국 당(唐)나라 때에 성립된 불교의 한 종파. 《화엄경》을 근본 경전으로 하며, 천태종(天台宗)과 함께 중국 불교의 쌍벽을 이룬다. 동진(東晉) 말 북인도 출생의 승려 불타발타라(佛陀跋陀羅)가《화엄경》을 한역한 이래《화엄경》 연구가 활발해졌으며, 특히 511년 인도의 논사(論師) 세친(世親)의 저서《십지경론(十地經論)》을 모두 완역한 것을 계기로 지론종(地論宗)이 성립되었는데, 이는 화엄종 성립의 학문적 기초가 되었다. 한편《화엄경》을 사경(寫經)․독송(讀誦)하는 화엄 신앙과, 이 신앙에 근거하는 신앙 단체인 화엄재회(華嚴齋會)도 발생하여 화엄종 성립의 기반이 성숙되었다. 이러한 배경 아래 두순(杜順)은 종래의 화엄에 대한 교학적 연구보다 실천적․신앙적 입장을 선양하여 화엄종의 제1조가.. 2010. 9. 10.
해탈(解脫) 해탈(解脫) 범어 vimukti, vimoksa의 한역. 불교용어. 번뇌의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진 상태. 모든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난 자유 자재한 경지. 모든 미혹의 굴레에서 벗어난 상태. 속세의 모든 굴레에서 벗어난 상태. 모든 번뇌를 남김없이 소멸한 열반의 상태. 깨달은 마음을 고요히 가라앉히고 한곳에 집중하여 산란하지 않는 선정(禪定)의 상태 고통에서 벗어나 속박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번뇌나 속박을 떠나 정신이 자유로와 지는 것, 방황의 속박을 벗어나서 완전한 정신적 자유를 얻는 것, 괴롭고 아픈 세계에서 해방된 평안한 상태, 평온한 경지, 득도 열반과 같은 경지를 말한다. 깨달음을 얻은 상태를 말하며, 전이하며 고승의 죽음을 지칭. 인도사상에서 해탈은 현세, 미망(迷妄)의 세계, 윤.. 2010.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