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용어 3212 현전상주승물 (現前常住僧物) 현전상주승물 (現前常住僧物) 첫째는 일물현전상주(一物現前常住)며, 둘째는 승중현전상주(僧衆現前常住)이다. 이 물건은 바로 눈앞에 보이는 승려 대중에게만 베풀기 때문이다. 2011. 5. 28. 후오백년 (後五百年) 후오백년 (後五百年) ① 후오백세(後五百歲). 약하여 후오(後五)라고도 함. 5종(五種)의 오백년(五百年) 가운데 제5의 오백년으로 투쟁견고의 시기를 이름. ② 부처님의 멸도한 오백세의 뒤. 2011. 5. 28. 삼성분별(三性分別) 삼성분별(三性分別) 자기와 상대한 이의 성질을 선(善), 악(惡), 무기(無記)의 3성으로 나누어 정함 2011. 5. 28. 공가중(空假中) 공가중(空假中) 천태종에서 세우는 3가지의 견해. 모든 사상의 본체가 본래 공적임을 '공'이라 하고,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서의 모든 사상이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가'라 하며, 공도 아니요 가도 아닌 절대의 진리를 '중'이라 함. 이 셋을 공ㆍ가ㆍ중의 3제라 하며, 이 진리를 관찰함을 공가중의 3관이라고 부름. 2011. 5. 28. 곡예탁삼업 곡예탁삼업 아첨하고 굽히는 것, 성내고 더러운 것, 탐하고 흐린 것, 이 세 마음에서 생기는(몸 말 마음의) 3업. 2011. 5. 28. 곡업 곡업 거짓으로 말미암아 생긴 업. 아첨하고 굽신거리는 마음에서 생기는 몸 입 마음의 세 행위. 2011. 5. 28. 고행(苦行) 고행(苦行)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또는 소원을 달성하기 위하여 괴로운 수행을 하는 일. 본디 인도에서 불교 외의 종교 행자(외도)가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육체를 극도로 괴롭힌 수행을 말한다. 12두타 를 말한다.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자기의 신명을 해치는 것. 고행자를 이른다. 모든 것을 버리는 것. 실행하기 어려운 행위. 고역에 종사하는 사람. 2011. 5. 28. 고집멸도(苦集滅道) 고집멸도(苦集滅道) 고(苦)는 괴로움 집(集)은 괴로움이 생기는 원인 곧, 집착, 멸(滅)은 괴로움의 소멸, 도(道)는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말하는데, 이것을 사제라고 한다 관련글 : 사성제 (四聖諦) 고성제(苦聖諦) 집성제(集聖諦) 멸성제(滅聖諦) 도성제(道聖諦) 2011. 5. 28. 고좌(高座) 고좌(高座) 설법하는 스님이 앉는 한 단 높은 좌석. 석존이 성도하였다는 금강보좌를 본떠서 설법ㆍ강경ㆍ설계나 수법할 때에 일반석보다 한 단 높이 마련한 좌석을 말하다. 그 크기는 율의 규정에 의하여 여러가지로 정해져 있으나, 1~2㎡에 30~50cm 높이의 것이 많다. 수법 때의 좌는 예반이라 한다. 강사와 독사가 앉는 높은 대. 강당 불단 앞 좌우에 있다. 논의대라고도 한다. 관련글 : 백고좌 2011. 5. 28. 우란분재(盂蘭盆齋) 우란분절 우란분재(盂蘭盆齋) 음력 칠월 보름 돌아가신 조상님과 외롭게 떠도는 영혼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며 베푸는 영가 천도재. 백중 또는 백종이라 하며 불가의 4대명절 중의 하나이다. 우란분절, 우란분회라고도 하며 백중, 백종과도 같은 의미로 쓰이는데 지옥 중생과 아귀 중생들을 제도하고 지옥고를 받고 있는 망자를 위해 불사를 행함으로서 그 괴로움으로 부터 벗어나게 한다는 의미를 가진 불교 행사의 하나이다. 우란분경을 보면 석가모니부처님의 수제자였던 목건련(목련존자)이 선정에 들어가 지옥을 보니 돌아가신 어머니가 지옥에 떨어져 고통받고 있음을 알고 그 구제방법을 부처님께 묻자 부처님께서 7월15일 즉 스님들의 안거가 끝나는 날 여러가지 음식, 과일, 등, 초 등의 공양구를 준비하여 지극한 정성으로 어머니의 제도를 기.. 2011. 5. 27. 이전 1 ··· 192 193 194 195 196 197 198 ··· 3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