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뇌49

번뇌애(煩惱礙) 번뇌애(煩惱礙) 번뇌는 마음을 번거롭고 산란케하여 진여 평등한 이치를 증득할 근본지혜를 장애하여 일어나지 못하게 함으로 번뇌애라 한다. 지말무명(枝末無明)의 6염심(染心) ↔ 지애(智礙) 관련글 : 번뇌(煩惱) 2013. 3. 5.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설일체유부와 구사중에서 우주간의 온갖 법을 75요소로 나누는 중 악과 상응하여 특수한 성질이 있는 마음 작용. 성질이 나쁘고 의식에 수반하여 생기는 마음작용) 분(忿, 분노), 복(覆, 죄를 덮어 감추는 일), 간( , 인색한 것), 질(嫉, 시샘), 뇌(惱), 해(害), 한(恨), 첨(諂, 아첨), 광(誑속 이는 것), 교(憍 교만) 관련글 : 심소법(心所法) 유부(有部)의 법체계 구사론(俱舍論) 2013. 2. 17.
묘각(妙覺) 묘각(妙覺) 불과(佛果)를 말한다. 보살 수행의 지위 점차인 52위(位)나 41위의 마지막 지위. 등각위(等覺位)에 있는 보살이 다시 1품의 무명을 끊고 이 지위에 들어간다. 온갖 번뇌를 끊어버린 부처님의 자리 관련글 : 등각 구경위(究竟位) 2013. 2. 1.
수번뇌(隨煩惱) 수번뇌(隨煩惱) 유식학파는 스무 가지의 수번뇌를 번뇌의 정도에 따라 크게 대수번뇌(大隨煩惱)와 중수번뇌(中隨煩惱) 그리고 소수번뇌(小隨煩惱)로 구분했다. 이중에 대수번뇌는 청정하지 않고 더러워진 마음 중에 선하지 않은 마음[不善]과 업에 의해 나쁘게 물들어 있는 마음[有覆] 이 항상 있는 번뇌를 말한다. 중수번뇌는 올바르지도 청정하지도 않으며 진리를 따르지 않는 마음[不善]이 항상 있는 것을 말하고 소수번뇌는 항상 있는 것은 아니지만 때에 따라 일어나는 번뇌를 말한다. 대수번뇌에는 방일(放逸)ㆍ해태(懈怠)ㆍ불신(不信)ㆍ혼침(昏沈)ㆍ도거(掉擧)ㆍ실념(失念)ㆍ산란(散亂)ㆍ부정지(不正知)의 여덟 가지가 있다. 관련글 : 실념(失念) 도거(悼擧) 부정지(不正知) 번뇌(煩惱) 2013. 1. 15.
유루(有漏) 유루(有漏) 누(漏)는 누설하다는 뜻. 우리들의 6문(門)으로 누설하는 것. 곧 번뇌. 이 번뇌를 따라 늘어나는 뜻을 가진 법, 곧 고체(苦諦), 집체(集諦)를 유루라 한다. 에는 다른 이름이 많다. 취온(取蘊), 유쟁(有諍), 고(苦), 집(集), 세간(世間), 견처(見處), 3유(有) 등 ↔ 무루(無漏) 3루(漏)의 하나.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의 번뇌 관련글 : 유루무루(有漏無漏) 무루(無漏) 손복단(損伏斷) 번뇌(煩惱) 구사론(俱舍論) 2013. 1. 9.
손복단(損伏斷) 손복단(損伏斷) 유루도(有漏道)의 힘에 의하여 번뇌의 종자를 억눌러 잠깐동안 일어나지 못하게 함. 그러나 연(緣)을 만나면 종자가 다시 현행(現行)함. 소승교의 하나인 경부(經部)의 주장 ↔ 필경단 2012. 12. 16.
무루(無漏) 무루(無漏) 누(漏)는 객관대상에 대하여 끊임없이 육근에서 허물을 누출(漏出)한다는 뜻으로 번뇌의 다른 이름. 소승에서는 번뇌를 증상(增上)하지 않음을 말하고 대승에서는 번뇌와 함께 있지 아니함을 말한다. ↔ 유루(有漏) 관련글 : 유루무루(有漏無漏) 2012. 10. 15.
번뇌하(煩惱河) 번뇌하(煩惱河) 번뇌는 사람을 떠내려가게 하므로 강에 비유하여 이렇게 이름 관련글 : 번뇌(煩惱) 번뇌진(煩惱陣) 번뇌탁(煩惱濁) 2012. 8. 20.
번뇌진(煩惱陣) 번뇌진(煩惱陣) 번뇌가 사면에서 떼 지어 일어나서 몸과 마음을 공격하고 뇌란케 하는 것이므로 진(陣)이라 한 것. 관련글 : 두타행(頭陀行) 번뇌(煩惱) 2012. 5. 13.
번뇌탁(煩惱濁) 번뇌탁(煩惱濁) Klesa-kasapa 5탁의 하나로 자기의 것은 아끼고 남의 물건은 탐내며 자질과 실력은 돌보지 않고 권세와 명예 등을 욕심 내어 갖은 수작을 부리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면 짜증을 내고 다른 이들을 중상모략하기를 일삼아 정신적으로 악질인 무리들이 우글거리는 세상을 말함. 말세가 되어 3독의 번뇌가 극성스럽게 일어나 중생의 몸과 마음을 흐리게 하고 어지럽게 하는일이 심한 때. 관련글 : 오탁악세 염오(染汚) 번뇌(煩惱) 명탁(命濁) 오탁(五濁) 2012.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