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뇌49

전박(纏縛) 전박(纏縛) 번뇌를 말함. 번뇌는 중생의 몸과 마음을 얽어 묶어서 자유롭지 못하게 하는 것이므로 전박이라고 함. 관련글 : 번뇌(煩惱) 2014. 3. 30.
이숙인(異熟因) 이숙인(異熟因) 6인(因)의 하나. 이숙을 불러올 원인. 우리들의 육체는 그 자체가 선이라 악이라 결정하기 어려우나 이런 과보를 나게 한 원인은 선악의 번뇌라 하여 이것을 이숙인이라 한다. 관련글 : 번뇌(煩惱) 이숙전변(異熟轉變) 2014. 3. 16.
의초부목(依草附木) 의초부목(依草附木) ① 호리(狐狸 여우나 삵과 같은 동물)의 종류가 초목에 의지하여 변화하듯이 수행하는 이가 언어와 문자에 구애되어 진여(眞如)의 본성(本城)에 바로 나아가지 못하는 데 비유, ② 사람이 죽어 다음 생을 받지 못하는 중간에 영혼이 큰 나무나 풀 그늘에 머무듯이 수행하는 이가 이 몸에 일어나는 일분 번뇌를 끊었으나 마치 범성(凡聖)․미오(迷悟)의 차별적 견해로서 벗어나지 못하여 참말 깨달은 경계에 들지 못함에 비유 2013. 12. 17.
묘촉탐(妙觸貪) 묘촉탐(妙觸貪) 4종 탐(貪)의 하나. 좋은 것을 접촉하려는 탐번뇌. 이를테면 여자의 부드러운 살결을 보고 만져보고 싶어하는 것과 같은 탐욕 2013. 10. 18.
오취온(五取蘊) 오취온(五取蘊) =오온(五蘊) 5온은 유루(有漏) 무루(無漏)에 통하고 5취온은 유루뿐. 취는 번뇌의 다른 이름. 번뇌는 온(蘊)을 낳고 온은 또 번뇌를 낳음으로 온을 취온이라 한다. 관련글 : 오온(五蘊) 번뇌(煩惱) 유루(有漏) 유루무루(有漏無漏) 무루(無漏) 2013. 9. 8.
수면개(睡眠蓋) 수면개(睡眠蓋) 오개(五蓋)의 하나 개는 심성을 덮는 뜻으로 번뇌의 다른 이름. 중생은 이 수면번뇌 때문에 심식(心識)이 가리워져서 청정한 선법을 일으키기 어려움으로 개(蓋)라 한다 관련글 : 오개(五蓋) 번뇌(煩惱) 2013. 6. 30.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번뇌즉보리(煩惱卽菩提) 번뇌 그대로가 곧 보리라는 것. 생사즉열반(生死卽涅槃)과 함께 쓰는 말 중생의 미견(迷見)으로 보면 미망(迷妄)의 주체인 번뇌와 각오(覺悟)의 주체인 보데가 딴판이지만 깨달은 눈으로 보면 두 가지가 하나이고 차별이 없다는 근거에 두 가지가 있다. 1. 등에서 말한 소극적 제법실상론(諸法實相論)으로 보면 온갖 법은 모두 공(空)한 것이어서 번뇌라고 집착할 것도 없고 보데라고 집착할 것도 없은즉 미견(迷見)으로 집착하는 번뇌와 보리는 다같이 공하다고 말하는 것. 삼론종(三論宗)과 선종(禪宗)에서는 이러한 처지에서 중생들의 집착을 떼어 버리고 공적무상(空寂無相)한 경지에 들어갈 것을 가르쳐 보이다. 2. 천태의 적극적 제법실상론이나 의 법계연기론(法界緣起論)으로 말하면 미망(迷妄)의 현.. 2013. 6. 5.
번뇌불퇴(煩惱不退) 번뇌불퇴(煩惱不退) 5불퇴(不退)의 하나. 보살이 등각위에 들어가서 번뇌가 그대로 보리인 이치를 깨달았으면 번뇌때문에 퇴전하는 일이 없게 됨을 말함. 관련글 : 번뇌장(煩惱障) 수번뇌(隨煩惱) 번뇌(煩惱) 2013. 4. 24.
번뇌장(煩惱障) 번뇌장(煩惱障) 인간의 몸은 5온(五蘊)이 화합한 존재에 불과한 것인데 영구성(永久性)있는 ‘나’하고 집착하는 번뇌 128근본번뇌와 20수번뇌가 이에 속한다. 이는 중생의 몸과 마음을 번거롭게 하여 열반을 장애하고 생사에 유전케함으로 번뇌장이라 한다. ↔ 소지장(所知障) 3장(障)의 하나 탐진치(三毒) 등의 번뇌가 자주자주 일어나서 불도 수행에 장애가 됨을 말한다. 관련글 : 수번뇌(隨煩惱) 번뇌(煩惱) 객진번뇌(客塵煩惱) 견애번뇌 2013. 4. 23.
취온(取蘊) 취온(取蘊) 유루의 다른 이름. 취는 번뇌를 말한다. 삼계의 고과(苦果)에 집착하여 후세의 과보를 이끌어 오는 업을 집지장양(執持長養)한다는 뜻. 온은 취(取)의 뜻. 3세에 걸쳐 안과 밖, 먼 것과 가까운 것, 낫고 못한 차별있는 것을 하나로 모을 수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 에 유루가 취온임을 설명하다. 1. 유루의 온은 취(번뇌)로부터 생김. 2. 유루 5온의 몸은 번뇌에 딸려 사역(使役)됨. 3. 유루의 온으로부터 취가 생긴다는 세 뜻을 들었다. 관련글 : 유루(有漏) 유루무루(有漏無漏) 오온(五蘊) 구사론(俱舍論) 2013.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