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548 이락(利樂) 이락(利樂) 이익과 안락. 내세의 이익을 이(利), 현세의 이익을 낙(樂)이라한다. 관련글 : 이락유정 2019. 7. 2. 이락유정(利樂有情) 이락유정(利樂有情) 유정(有情). 곧 중생을 이익케하고 안락케 함. 보살의 이타행(利他行) 2019. 7. 1. 원초일념(元初一念) 원초일념(元初一念) 선악을 분별하는 생각이 일어나지 않았을 때 한 생각이 일어나는 마음. 곧 진여가 무명의 훈습을 받아 생기는 최초 1찰나의 아리야식을 말함. 2019. 6. 29. 육대법신(六大法身) 육대법신(六大法身) 밀교에서 6대(大 )는 우주법계에 두루 가득하여 만유제법을 섭지(攝指)하였음으로 법신이라고 한다. 관련글 : 육대, 육대무애, 무애 2019. 6. 28. 육대무애(六大無碍) 육대무애(六大無碍) 밀교에서 지(地) 수(水) 화(火) 풍(風) 공(空) 식(識)의 6대가 서로 융통하고 섭입(涉入)하여 장해되지 아니함을 말한다. 이 가운데서 수와 수, 화와 화가 서로 섭입하여 장애하지 않는 다는 것을 동류무애(同類無碍), 수와 화, 화와 풍이 서로 장애하지 않는 것과 같은 것을 이류무애(異類無碍)라 함. 관련글 : 육대, 무애 2019. 6. 28. 역류(逆流) 역류(逆流) 1. 생사의 흐름을 거슬러 깨닫는 길로 향하여 나아감. 2. 4과(果)의 하나. 생사를 거슬러 성자(聖者)의 지위에 들어간 사람. 수다원. 예류 2019. 6. 27. 유루신(有漏身) 유루신(有漏身)육체를 말한다.이것이 나와 남의 번뇌를 늘게 하는 근본 체. 2019. 3. 14. 6년고행 6년고행 석가모니 부처님이 출가 한 뒤 성도(成道)하기까지 겪은 고행(苦行) 2018. 8. 9. 율(律) 율(律) 비내야(毘奈耶)의 번역. 1. 계율. 부처님이 제정한 금계(禁戒)2. 3장(藏)중에서 계율에 관한 경전을 모은 율장. 2017. 10. 8. 은상자(恩上資) 은상자(恩上資) 행자를 데려다가 중을 만든 제자.이는 우리나라에서 일컫는 말.은정으로 제일 가깝다. 2017. 7. 20. 이전 1 2 3 4 5 6 7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