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548 유리(有離) 유리(有離) =유위(有爲). 이(離)는 길이 여의는 뜻. 열반을 말한다. 여러 유위(有爲)의 법들은 열반에 이르면 여의는 것이므로 여윔을 가졌다는 뜻으로 유리라 한다. 2023. 4. 3. 유류(有流) / 유륜(有輪) 유류(有流) 4류(流)의 하나. 유폭류(有暴流). 유륜(有輪) 유(有)는 미계(迷界). 윤(輪)은 수레바퀴. 미계의 중생이 지옥. 아귀· 축생 • 인간 • 천상계를 드나들며 정지함이 없는 상태. 2023. 4. 2. 유루인(有漏因) / 유루행(有漏行) 유루인(有漏因) 누(漏)를 포함한 사물, 곧 5온(蘊)을 내는 원인. 5계 (戒)•10선(善)의 선법, 5역(逆).• 10악(惡)의 악법 등 불교로서 보는 세속적 (世俗的) 선악. 유루행(有漏行) 1. 유루의 행법(行法). 견도(見道) 이전에 하는 행위, 또는 수도위 (修道位) 중의 유루심. 2. 유루법 그대로가 유위법임을 유루행이라 한다. 2023. 4. 2. 유루선(有漏禪) / 유루선 (有漏善) 유루선(有漏禪) ↔무루선(無漏禪). 또는 유루정(有漏定) • 유루관(有漏觀) • 세간선(世間禪). 범부가 6행관(行觀)으로 닦는 선정(禪定)의 이름. 곧 색계의 4선(禪)과 무색계의 4정(定)과 4무량심정(無量心定)을 말한다. 유루선 (有漏善) ↔무루선(無漏善). 대승교 •소승교에서 무루지(無漏智)를 일으키기 전에 범부가 하는 선한 일 (5戒.10善 등)과 견도(見道) 이전에 일어나는 선(善)한 일. 2023. 4. 1. 유마(維摩) 유마(維摩) 범어 Vimalakirti. 부처님의 속제자(俗弟子). 유마힐 (維摩詰) • 비마라힐(毘 摩羅詰) 등이라고 음역. 정명(名)•무구칭 (無垢稱)이라 번역. 인도 비야리국 장자로서, 속가에 있으면서 보살행업을 닦은 이. 그 수행이 갸륵하여 불제자로도 미칠 수 없었다고 한다. 2023. 4. 1. 유루도(有漏道) / 유루로(有漏路) 유루도(有漏道) 범 Sāsravamarga ↔무루도(無漏道). 유루의 수도(修道). 세간도(世間道) • 세속도(世俗道)라고도 한다. 6행관을 닦아 3계 (界) 9지(地) 중 무색계의 최상지인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를 제하고 다른 8지의 수혹(修惑)을 끊는 행. 유루로(有漏路) 번뇌에 더럽힌 범부의 경계, 곧 이 세계. 2023. 4. 1. 유루과(有漏果) / 유루단 (有漏斷) 유루과(有漏果) 유루의 업인(業因)으로 말미암아 받게 되는 과보(果報). 곧 인간·천상 등 3계 (界) 5취(趣)의 몸과 국토를 말한다. 유루단 (有漏斷) ↔무루단(無漏斷). 유루의 6행관(行觀)으로써 번뇌를 끊음. 끊을 번뇌는 3계를 9지(地)에 나누고 각지(地)마다 9품의 번뇌가 있어 모두 81품.그중 앞 엣 8지의 번뇌인 72품의 수혹(修惑)이니, 범부는 6행관으로 끊고, 성자(聖者)는 세속도(世俗道)에 의하여 끊는다. 3계 9지의 최상인 유정천(有頂天)은 그 위의 지(地)가 없으므로 유루단은 없다. 유루(有漏) 유루(有漏) 누(漏)는 누설하다는 뜻. 우리들의 6문(門)으로 누설하는 것. 곧 번뇌. 이 번뇌를 따라 늘어나는 뜻을 가진 법, 곧 고체(苦諦), 집체(集諦)를 유루라 한다. 에는 다른 이.. 2023. 4. 1. 유량 (有量) /유량제상(有量諸相) 유량 (有量) ↔무량(無量). 한량이 있다는 뜻. 세계의 사물에 한정이 있음을 말한다. 유량제상(有量諸相) 한량 있는 여러 모양이란 뜻. 넓은 뜻으로는 미계(迷界)의 만법을 가리키는 것이나, 좁은 의미로는 그 중에 사는 중생을 말함. 아직 미계에 있어서 몸과 마음에서 무변(無邊)을 얻지 못하고, 일정한 한 량이 있으며, 또 그 상태가 한결같지 않고 차별하다는 뜻을 말한다. 2023. 4. 1. 유대촉(有對觸) 유대촉(有對觸) ↔증어촉(增語觸). 6식과 상응하여 일어나는 촉(觸)의 심소(心所) 중에서 안(眼) 등의 5식과 상응하는 것을 유대촉, 제6의식과 상응하는 것을 증어라 함. 2023. 3. 31. 유대(有對) 유대(有對) ↔무대 (無對). 대애(對礙)가 있는 법. 3종이 있다. 장애유대障礙有對) 손과 손, 돌과 돌이 서로 장애함과 같이 두 물건이 동시에 동일한 공간을 차지 할 수 없는 것. 물질적 존재인 5기관과 그 대경(對境)인 5경 (境). 경계 유대(境界 有對) 대상에 구속되어 다른 것에 대하여 자유롭지 못한 것. 6기관(器官) · 6식 (識)과 이와 함께 일어나는 정신작용은 바 깔 물질계의 형(形)・색(色)이외에 작용하지 못함과 같은 것. 소연 유대 (所緣有對) 6식(識)과 및 이와 함께 일어나는 정신작용은 그 대상인 6경에 구속되어 자유롭지 못하는 것. 이렇게 경계와 소연(所緣)은 마찬가지 외계의 6진을 말하는 것이나, 하나는 동작하는 장소라는 뜻으로 경계라 하고, 하나는 그것을 반영하여 일어나는 뜻.. 2023. 3. 31. 이전 1 2 3 4 5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