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48

여적(女賊) 여적(女賊) 여인을 말한다. 여인은 애착의 근본이 되어 수도하는 이의 마음을 어지럽게 함으로 도둑에 비유. 2017. 6. 21.
오교불신(五敎佛身) 오교불신(五敎佛身)화엄종에서 부처님이 설법할 때 5교를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내는 불신.장륙불신 - 소승교의 불, 천백억화신 - 대승교의 불장륙신이 곧 진불 - 종교의 불장륙신이 곧 법신 - 돈교의 불구족십신 - 원교의 불 2017. 6. 7.
음향인(音響忍) 음향인(音響忍)3가지 인(忍)의 하나.불보살의 입으로 설법을 듣고 신해(信解)하여 도리에 안주(安住).마음을 동하지 않음.관련글 : 십인(十忍) 2017. 6. 5.
여실지(如實智) 여실지(如實智)부처님네의 얻은 지혜.제법의 실상을 아는 지혜.실상에 계합하는 지혜. 2017. 5. 12.
연각장(緣覺藏) 연각장(緣覺藏)3장의 하나.연각의 깨닫는 지경에 도달하는 수행과 그 증득한 경계를 말한 경전 2017. 4. 24.
응신(應身) 응신(應身) 3신(身)의 하나. 중생을 교화하려는 부처님이 중생과 같은 몸을 나타내는 몸. 관련글 보기 : 열응신(劣應身) 응신불(應身佛) 삼신 (三身) 2016. 10. 19.
약상보살(樂上菩薩) 약상보살(樂上菩薩) 25보살의 하나. 약왕(樂王)보살의 동생. 전광명(電光明)이라 한다. 형상은 극히 단정화려하고 두 손에 영락(瓔珞)을 받들었다. 2016. 7. 2.
육재일(六齋日) 육재일(六齋日) 매달 음력 8, 14, 15, 23 ,29, 30일의 6일 이 6일은 사천왕이 천하를 순행하면서 사람의 선악을 살피는 날. 또는 악귀(惡鬼)가 사람의 짬을 보는 날. 이 날에는 사람마다 몸을 조심하고 마음을 깨끗이 하여 지계(持戒)하여야 한다고 함. 관련글 : 팔관재계 2016. 6. 27.
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 여의륜관음(如意輪觀音) 6관음의 하나. 여의는 여의보주(如意寶珠). 륜(輪)은 법륜. 여의보주의 삼매에 들어있으면서 뜻과같이 설법하여 6도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고 세간과 출세간 이익을 주는 것을 본 뜻으로 하는 보살. 형상은 전신이 황색. 여섯손이 있으니 오른쪽의 상수(上手)는 사유(思惟)하는 모양. 다음 손에는 여의보주를 들고 또 다음손에는 염주를 달았다. 왼쪽의 상수는 광명산(光明山 )을 누르고 다름손에는 연꽃을, 또 다음 손에는 금륜(金輪)을 들었다. 이 6수(手)는 6도를 구제하는 표치. 또 두 팔만 있는 형상도 있다. 관련글 : 육관음(六觀音)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여의주(如意珠) 2015. 12. 4.
유쟁(有諍) 유쟁(有諍) 유루(有漏)의 다른 이름. 쟁(諍)은 번뇌. 유루계(有漏界)의 모든 현상은 번뇌를 늘게 하는 것이므로 유쟁. 관련글 : 유루(有漏) 2015.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