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48

언설법신(言說法身) 언설법신(言說法身) 2종 법신의 하나. 법신은 본래 모양이 없고 말할 것이 없다. 그러나 이를 표현하려면 언어에 의지할 수 밖에 없음으로 언설법신이라 한다. 관련글 : 법신 2014. 7. 19.
염착(染着) 염착(染着) 망념으로 말미암아 나타난 대상을 실로 있는 경계인 줄로 생각하고 집착하는 것 =집착(執着) 관련글 : 집착(執着) 애착(愛着) 2014. 7. 17.
원돈지관(圓頓止觀) 원돈지관(圓頓止觀) 3가지 지관의 하나. 마하지관(摩訶止觀)의 다른 이름. 순서를 밟지않고 바로 순일(純一)한 실상(實相)을 관함. 관련글 : 지관(止觀) 천태종(天台宗) 2014. 6. 30.
와법(臥法) 와법(臥法) 옆으로 눕는 방법. 오른편 옆구리를 아래로 하고 누워서 발을 포개고 가사로 몸을 덮고 바른 일을 생각함. 2014. 6. 20.
유인무과(有因無果 유인무과(有因無果) 외도(外道) 4집(執)의 하나. 현재만 있고 미래의 결과는 없다고 하는 말. 현세를 인정하고 후세를 부정하는 이의 주장 관련글 : 외도(外道) 사견(四見) 2014. 6. 18.
오종산란(五種散亂) 오종산란(五種散亂) 우리들의 마음이 산란한 다섯가지. 1. 자성산란(自性散亂) : 5식(識)이 자성을 지키지 않고 경계를 따라 잠깐잠깐 변화함. 2. 외산란(外散亂) : 의근이 경계를 따라 여러가지의 견해를 일으킴. 3. 내산란(內散亂) : 마음에 고하(高下)를 내어 잠깐잠깐 변천하여 정하지 않음. 4. 추중산란 : 나와 내 소유물의 존재에 집착하여 해탈하지 못함. 5. 사유산란(思惟散亂) : 대승을 버리고 소승을 생각하여 고요함을 얻지 못함. 2014. 6. 16.
의타기성(依他記性) 의타기성(依他記性) 유식(唯識)3성의 하나. 자기의 원인만으로는 나기 어렵고 반드시 다른 연(緣)을 기다려서 나는 물․심의 모든 현상. 유식론에 의하면 백법(百法)중에 94법은 여기에 딸림. 색법(色法)은 인연과 증상연에 의하여 생기고 심법은 4연에 의하여 생긴다고 한다. 관련글 : 삼성설 공유이론 유식(唯識) 2014. 6. 9.
음주의 10과실 음주의 10과실 술을 마심으로 인해 살생(殺生), 투도(偸盜), 음행(淫行), 망어(妄語)의 4가지 죄를 범하게 되는 동기가 됨으로 경계한 것. 1. 얼굴 빛이 나쁘고 2. 비열하고 4. 눈이 밝지 못하고 5. 농사나 살림살이를 파괴하고 6. 병이 생기고 7. 투쟁이 많아지고 8.나쁜 소문이 퍼지고 9.지혜가 감소하고 10. 죽으면 악도에 떨어진다. 2014. 6. 8.
의총(疑冢) 의총(疑冢) 조상하는 사람이 없는 무연(無緣)의 죽은 이를 위하여 다른 사람이 의로써 세운 무덤. 2014. 5. 31.
양족존(兩足尊 양족존(兩足尊) 양족선(兩足仙), 이족존(二足尊)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을 말함. 부처님은 두 발을 가진 이 중에서 가장 높은 이란 말. 또 대원(大願)과 수행(修行), 혹은 복덕과 지혜의 둘을 구족하였다는 뜻. 관련글 : 삼귀의 구족 (具足) 2014. 5.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