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548 이구(二求) 이구(二求) 중생이 가지고 있는 2가지 욕구(欲求) 득구(得求) : 여러가지 낙(樂)을 얻으려고 욕구함 명구(命求) : 오래도록 낙을 얻기위하여 오래 살기를 욕구하는 것. 2014. 1. 29. 유식(唯識) 유식(唯識) 1. 삼라만상은 심식밖에 실존(實存)한 것이 아니어서 다만 심식뿐이라고 하는 말. ⟹ 유심(唯心) 2. 유식종의 준말 2014. 1. 17. 양설(兩舌) 양설(兩舌) 십악(十惡)의 하나. 두말 않는 것. 양쪽 사람에 대하여 번갈아 서로 틀리는 말을 함. 그리하여 양쪽 사람의 사이를 이간하여 불화케 한다. 신역(新譯)에서는 이간어(離間語)라고 한다. 2014. 1. 16. 이검명호(利劍名號) 이검명호(利劍名號) 아미타불의 명호를 불러서 모든 죄업을 소멸하는 것을 날카로운 칼로 물건을 끊는데 비유하여 말한 것. 관련글 : 아미타불(阿彌陀佛) 2014. 1. 14. 오처공양(五處供養) 오처공양(五處供養) 항상 공양하여야 할 다섯 곳을 말함. 비구가 법을 받는 친교사(親敎師)ㆍ궤범사(軌範師). 낳아 길러 준 부(父)ㆍ모(母)ㆍ병상에 누워 있는 병자를 말함. 관련글 : 외사공양(外四供養) 사사공양(四事供養) 공양행 공양하는법 만발공양(萬鉢供養) 법공양(法供養) 공양(供養) 2014. 1. 13. 이심관정(以心灌頂) 이심관정(以心灌頂) 비밀관정(秘密灌頂)의 하나. 스승과 제자사이에서 특별히 관정단(灌頂壇)을 베풀지 않고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하는 관정 관련글 : 비밀관정(秘密灌頂) 전법관정(傳法灌頂) 관정(灌頂) 2014. 1. 9. 의초부목(依草附木) 의초부목(依草附木) ① 호리(狐狸 여우나 삵과 같은 동물)의 종류가 초목에 의지하여 변화하듯이 수행하는 이가 언어와 문자에 구애되어 진여(眞如)의 본성(本城)에 바로 나아가지 못하는 데 비유, ② 사람이 죽어 다음 생을 받지 못하는 중간에 영혼이 큰 나무나 풀 그늘에 머무듯이 수행하는 이가 이 몸에 일어나는 일분 번뇌를 끊었으나 마치 범성(凡聖)․미오(迷悟)의 차별적 견해로서 벗어나지 못하여 참말 깨달은 경계에 들지 못함에 비유 2013. 12. 17. 의지(依地) 의지(依地) 선정(禪定)을 말한다. 자기가 의지하여 오도(悟道)에 들려는 소의지(所依止)이므로 선정을 의지라 한다. 관련글 : 선정 2013. 12. 15. 유표업(有表業) 유표업(有表業) 표시할 수 없는 업(業)이란 뜻. 몸의 표업은 취하고, 버리고, 굽히고, 펴는 동작. 말의 표업은 자기의 의사를 발표하는 언어. 뜻의 표업은 탐(貪), 진(瞋) 등의 번뇌. 에서는 몸과 입에서만 표업을 세우고, 유식에서는 몸과 입과 뜻에 걸쳐 세운다. 2013. 11. 25. 오탁(五濁) 오탁(五濁) 나쁜 세상에 대한 5가지의 더러움. 오재(五滓), 오혼(五渾)이라고도 한다. 겁탁(劫濁) : 사람의 수명이 점차 줄어들어 각기 기근(饑饉), 질병(疾病), 전쟁(戰爭)이 일어나 시대가 흐려짐에 따라 입는 재액. 견탁(見濁) : 말법(末法)시대에 이르러 사견(邪見), 사법(邪法)이 다투어 일어나 부정한 사상의 탁함이 넘쳐 흐름. 번뇌탁(煩惱濁) 혹은 혹탁(惑濁) : 사람의 마음이 번뇌에 가득하여 흐려짐. 중생탁(衆生濁) 또는 유정탁(有情濁) : 사람이 악한 행위만을 행하여 인륜 도덕을 돌아보지 않고 나쁜 결과를 두려워 하지 않는 것. 명탁(明濁) 또는 수탁(壽濁) : 인간의 수명이 차례로 단축되는 것. 관련글 : 오탁악세 2013. 11. 24.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