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548 일수사견(一水四見) 일수사견(一水四見) 같은 물이라도 천상 사람은 유리로 장엄한 땅으로 보고 인간은 물로보고 아귀는 농혈(膿血)로 보고 고기 따위는 집으로 보는 것. 곧 같은 경계에 대하여 제각기 견해를 달리 함을 비유 2013. 11. 23. 육군비구(六群比丘) 육군비구(六群比丘) 부처님계실 때에 떼를 지어 나쁜 일을 많이 하던 6명의 악한 비구. 발난타, 난타, 가류타이, 천노, 마사, 불나발. 부처님의 계율은 흔히 이 6군 비구로 말미암아 정한다. 2013. 11. 20. 이간(二慳) 이간(二慳) 1, 재간(財慳) 재물을 아껴서 남에게 주지 못하는 것. 2. 법간(法慳) 부처님의 교법을 아끼어 다른 사람에게 가르치지 않는 것. 2013. 11. 17. 여환가유(如幻假有) 여환가유(如幻假有) 만유는 몽환(夢幻)과 같아서 실체가 없고 인연으로 화합하여 가(假)로 있는 것임을 가리키는 말. 2013. 11. 17. 용두(龍頭) 용두(龍頭) 용수(龍首)라고도 한다. 범종의 위에 용머리 모양으로 된 꼭지. 여기에 갈구리를 매여 종을 달아 놓는다. 이것을 용 모양으로 만든것은 잘못이고 포뇌수(蒲牢獸) 모양으로 만드는 것이 옳다고 한다. 포뇌는 바닷가에 사는 짐승. 성품이 고래를 무서워하고 소리는 범종과 같음으로 포뇌의 모양을 만들어 종위에 붙이고 방망이를 고래 모양으로 만들어야 종이 반드시 울린다고 하는 것. 후세에 범종소리를 경음(鯨音)이라고 하는 것도 여기서 생긴 것. 관련글 : 범종 용뉴 2013. 11. 7. 오통(五痛) 오통(五痛) 살생(殺生) 투도(偸盜) 사음(邪淫) 망어(妄語) 음주(飮酒)의 오악을 지은 이가 현세에 지옥에 들어가서 형벌을 받는 고통 2013. 11. 4. 아자본불생(阿字本不生) 아자본불생(阿字本不生) 밀교 교리의 근본 뜻. 본불생이란것은 본연적 실재를 의미하고 후천적으로 창조하지 아니한 것임을 표시하는 말. 아(阿)자는 모든 말과 소리의 근본으로서 어떠한 소리, 어떠한 말이라도 반드시 아자를 포함하지 아니한 것이 없다. 곧 본초적(本初的)인 것. 따라서 다른 원인에 의하여 생긴 것이 아닌 것. 그리하여 본불생의 뜻을 알기에 편리함으로 아자에 붙여 일체제법 본초불생의 뜻을 알게 하는 것. 아자관은 이 관법에 불과하다. 2013. 10. 25. 염무감(念無感) 염무감(念無感) 18불공법의 하나. 부처님이 일체 지혜를 구족하고 모든 중생을 제도하여 마음에 넉넉한 생각이 없는 것. 관련글 :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2013. 10. 16. 염불삼매(念佛三昧) 염불삼매(念佛三昧) 1. 일심으로 부처님의 상호장엄을 관하고 그 관이 성숙하여 법계에 두루한 이법신(理法身)의 실상을 관하는데 이르는 삼매 사리(事理)의 정선관(定善觀) 2. 정토문에서 아미타불 한분만 염하고 생각이 다른데 흩어지지 않고 일심으로 이름을 부르는 것. 관련글: 칭명염불(稱名念佛) 실상염불(實相念佛) 타력염불 염불(念佛) 관상염불(觀想念佛) 2013. 10. 16. 이만다라(理曼茶羅) 이만다라(理曼茶羅) 태장계 만다라를 말한다. 양부(兩部)의 만다라를 이(理) 지(智)에 해당하면 태장계는 중생이 본래있는 이성(理性)의 덕을 나타내는 것. 금강계는 여래가 처음 이룬 지상(智相)을 말한다. 관련글 : 만다라 2013. 10. 1.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