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137 화표[華表] 화표[華表] 본래 인도에서 도성(都城)의 각 성문(門)마다 대화표주(大華表柱)를 세운데서 유래(由來)한 것. 현재 인도 불타가야탑(佛陀伽耶塔)의 정면에 원형의 화표가 1주(柱) 있으니, 높이 1장(丈) 남짓, 가지가지의 조각이 있다. 중국에서는 긴 깃대 위에 가로 나무를 교차하여 큰 길거리에 세워 표하는 것. 이것도 인도 풍속에서 온 것. 우리나라에서 예전에 급제(及第)한 사람이 사는 동리 어구에 세우던 솟대가 그와 비슷한 것. 2023. 4. 28. 화타[話墮〕 화타[話墮〕 1 논의 문답(論義問答)하다가 지는 것. 2 제1의(義)를 등지고, 제2·제 3의 화두(話頭)에 떨어지는 것. 말로 하는 것이 벌써 화타인 것이다. 2023. 4. 26. 확탕지옥[鑊湯地獄] 확탕지옥[鑊湯地獄] 끓는 솟에 삶기는 고통을 받는 지옥. 넓이 40유순되는 18개의 큰 솟이 있어, 5백 라찰(羅利)들이 불을 때면 솟 안에 있는 끓는 쇳물이 튀어서 불꽃이 되고, 이것이 화륜(輪)이 되어서 다시 솟으로 들어간다 함. 계를 파한 이, 중생을 죽여 고기를 먹은 이, 산과 들에 불을 질러 많은 생류를 상하게 한이, 또 중생을 태워 죽인 이는 죽어서 이 솟에 삶기우는 고통을 받고, 이 과보가 다하면 축생으로 태어나고, 8천만 세를 지나서 겨우 사람의 몸을 받으나, 병이 많고, 수명이 짧다 한다. 화탕지옥 화탕지옥 펄펄 끓는 물에 몸이 삶아지는 고통을 받는 지옥. 대아비지옥에 속하는 18부 지옥 중의 하나. studybuddha.tistory.com 2023. 4. 23. 현적(玄籍) 현적(玄籍) 현묘(玄妙)한 전적(典籍). 불교의 경전, 또는 부처님의 교법. 2019. 11. 10. 현전승물(現前僧物) 현전승물(現前僧物) 2종 승물의 하나. 한 사찰에 거주하는 현재의 대중들에게 딸린 제물 관련글 : 시방현전상주승물 (十方現前常住僧物) 현전상주승물 (現前常住僧物) 상주상주승물(常住常住僧物) 사방승물(四方僧物) 시방상주승물 (十方常住僧物) 2019. 11. 10. 해원주(廨院主) 해원주(廨院主) 선사(禪寺)에서 회계, 접대, 공무등을 맡은 소임. 2019. 11. 9. 화상(和尙) 화상(和尙) 본래는 아사리와 함께 수계사(受戒師)인 스님을 말하는 것이나 후세에는 덕이 높은 스님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범어로 토파타야로 음역하고 친교사, 역생, 의학, 근송이라 번역. 관련글 : 아사리 2019. 7. 3. 호념(護念) 호념(護念) 모든 불 보살, 하늘, 귀신들이 선행을 닦는 중생에 대하여 온갖 마장을 제하고 옹호하며 깊이 억념(憶念)하여 버리지 않는 것. 관련글 : 염식(念食) 2015. 6. 29. 허가행(虛假行 허가행(虛假行) 마음과 동작이 일치하지 않는 행동. 번뇌 마음으로 닦는 행. 범부가 제 힘으로 행하는 선근. 2015. 6. 1. 회자정리(會者定離) 회자정리(會者定離) 서로 만난 사람은 반드시 또 서로 이별하게 된다는 뜻. 곧 미(迷)한 세계의 전변(轉變)이 끝이 없음을 나타낸 말. 2014. 7. 12. 이전 1 2 3 4 5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