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나578

공가중(空假中) 공가중(空假中) 천태종에서 세우는 3가지의 견해. 모든 사상의 본체가 본래 공적임을 '공'이라 하고,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서의 모든 사상이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것을 '가'라 하며, 공도 아니요 가도 아닌 절대의 진리를 '중'이라 함. 이 셋을 공ㆍ가ㆍ중의 3제라 하며, 이 진리를 관찰함을 공가중의 3관이라고 부름. 2011. 5. 28.
곡예탁삼업 곡예탁삼업 아첨하고 굽히는 것, 성내고 더러운 것, 탐하고 흐린 것, 이 세 마음에서 생기는(몸 말 마음의) 3업. 2011. 5. 28.
곡업 곡업 거짓으로 말미암아 생긴 업. 아첨하고 굽신거리는 마음에서 생기는 몸 입 마음의 세 행위. 2011. 5. 28.
고행(苦行) 고행(苦行)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또는 소원을 달성하기 위하여 괴로운 수행을 하는 일. 본디 인도에서 불교 외의 종교 행자(외도)가 깨달음을 얻기 위하여 육체를 극도로 괴롭힌 수행을 말한다. 12두타 를 말한다.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자기의 신명을 해치는 것. 고행자를 이른다. 모든 것을 버리는 것. 실행하기 어려운 행위. 고역에 종사하는 사람. 2011. 5. 28.
고집멸도(苦集滅道) 고집멸도(苦集滅道) 고(苦)는 괴로움 집(集)은 괴로움이 생기는 원인 곧, 집착, 멸(滅)은 괴로움의 소멸, 도(道)는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을 말하는데, 이것을 사제라고 한다 관련글 : 사성제 (四聖諦) 고성제(苦聖諦) 집성제(集聖諦) 멸성제(滅聖諦) 도성제(道聖諦) 2011. 5. 28.
고좌(高座) 고좌(高座) 설법하는 스님이 앉는 한 단 높은 좌석. 석존이 성도하였다는 금강보좌를 본떠서 설법ㆍ강경ㆍ설계나 수법할 때에 일반석보다 한 단 높이 마련한 좌석을 말하다. 그 크기는 율의 규정에 의하여 여러가지로 정해져 있으나, 1~2㎡에 30~50cm 높이의 것이 많다. 수법 때의 좌는 예반이라 한다. 강사와 독사가 앉는 높은 대. 강당 불단 앞 좌우에 있다. 논의대라고도 한다. 관련글 : 백고좌 2011. 5. 28.
고절갈마 고절갈마 가책갈마. 분쟁을 좋아하며, 갖가지 나쁜 짓을 하고, 삼보를 비판하는 자에게는 가책을 주고, 꾸짖어서 한때 승권을 정지시키는 작법. 2011. 5. 23.
고시초 고시초 길상초. 부처가 성도할 때에 이 풀을 깔고 앉았다고 한다. 인도에서는 옛부터 상서로운 풀로 여겨, 제장에는 쿠샤초를 깔았다. 불교도 그 관념을 이어받아 쿠샤초를 상서로운 풀로 여기고 있다. 2011. 5. 23.
고승전 고승전 덕이 높은 스님의 전기를 모아 적은 것. 이름으로서는 양나라 혜교의 고승전(14권)이 가장 오래되고, 다음으로 당나라 도선의 속고승전(20권), 송나라 찬영의 송고승전(30권), 명나라 여성의 대명고승전(8권)을 통틀어서 사조고승전이라고 한다. 명나라 명하의 보속고승전(26권), 민국의 유겸 등의 신속고승전(65권)이 있으며, 경도의 묘법원 요여의 승전배운(106권)은 중국의 각종 승전의 초출과 색인을 겸한 것이다. 한국에는 고려 각훈의 해동고승전(2권), 일본에는 사만의 본조고승전(75권), 도계의 속일본고승전(11권) 외에 성돈의 동국고승전(10권) 등이 있다. . 2011. 5. 23.
고승(高僧) 고승(高僧) 고승은 수행력이나 학덕이 높은 스님을 말한다. 고승대덕의 치열했던 수행일화 그리고 행적들은 시대를 뛰어넘어 회자되면서 중생들의 사표가 되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에서는 특히 수행자들의 사표가 되는 고승을 선지식(善知識)이라 했다. 본래 박학다식 하면서도 덕이 높은 현자를 이르는 이 말은 좋은 친구를 뜻하는 산스크리트 칼리아니미트라(kalyamitra)에서 유래하여 선친우(善親友), 승우(勝友)라고 번역한다 2011. 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