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99

삼종퇴굴(三鐘退屈) 삼종퇴굴(三鐘退屈) 보살 수행의 1계(階)인 자량위(資糧位)에서 일으키는 퇴굴심의 세가지. 1. 보리광대굴(菩堤廣大屈) 부처님의 지혜가 광대 심원(廣大深遠)하다 함을 듣고 퇴굴심을 내는 것. 2. 만행난수굴(萬行難修屈) 육바라밀의 행이 수행하기 어렵다 함을 듣고 퇴굴심을 내는 것. 3. 전의난증굴(轉依難證屈) 번뇌장, 소지장을 버리고 대열반, 대보리의 깨달음이 얻기 어려움을 생각하여 퇴굴심을 내는 것. 관련글 : 보리 (菩提) 육바라밀(六波羅蜜) 번뇌장(煩惱障) 2014. 6. 2.
삼급랑(三級浪) 삼급랑(三級浪) 중국 용문(龍門)에 있는 세 층급의 빨리 흐르는 물. 3월 3일 복숭아꽃이 피면 물고기가 용으로 변하여 삼급랑을 뛰어넘어 하늘에 올라간다 함. 2014. 5. 29.
사자신중충 (獅子身中蟲) 사자신중충 (獅子身中蟲) 사자 몸에 붙어있으면서 그 살을 뜯어 먹는 벌레 불교 교단에 있으면서 불법을 해치는 나쁜 비구를 말함. 2014. 5. 12.
선인(仙人) 선인(仙人) Rsi 리시(哩始)라 음역. ① 세간을 떠나 산수(山水)좋은데 있으면서 신변자재(神變自在)한 술법이 있는 이. ② 바라문교 등 외도의 수행자로서 신통력이 있는 이 관련글 ; 아사타선(阿私陀仙) 2014. 4. 23.
상주교(常住敎) 상주교(常住敎) 에 말한 교. 온갖 중생에게 보편적으로 불성의 상주함을 인정하며 어떤 것이든지 기연(機緣)이 익숙해지면 반드시 성불한다고 하였음으로 상주교라 한다. 관련글 : 오교(五敎) 열반경 (涅槃經) 2014. 3. 20.
상좌삼매(常座三昧) 상좌삼매(常座三昧) 4종 삼매의 하나. 일행삼매(一行三昧)라고도 함. 90일을 기한으로 정하고 좌선 입정(入定)하여 피로할 때는 어떤 부처님 이름을 외워 악각(惡覺), 난상(亂想)을 없애고 마음을 법계에 머물러 사념(思念)함을 말함. 관련글 : 삼매 (三昧) 2014. 2. 28.
실유불성(悉有佛性) 실유불성(悉有佛性) 중생에게는 모두 다 부처가 될 본성이 있다는 말. 실대승가(實大乘家)에서 주장하는 것. 관련글 : 불성(佛性) 2014. 2. 24.
식주(識住) 식주(識住) 식이 안주하는 곳. 욕계, 색계에서는 5온(蘊)을 체(體)로 하고 무색계에서는 4온을 체로 함. 2014. 2. 1.
상행보살(上行菩薩) 상행보살(上行菩薩) 석가모니 부처님이 을 설할 때 말대(末代)의 5탁(五濁)악세(惡世)에 나서 이 경을 널리 퍼뜨리라고 부촉한 보살중에 우두머리에 해당하는 보살 2014. 1. 10.
생고(生苦) 생고(生苦) 4고의 하나. 모태(母胎)에 있을 때부터 출생할 때까지 받는 고통 관련글 : 팔고(八苦) 팔난(八難) 2014. 1.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