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99

심광상호익(心光常護益) 심광상호익(心光常護益) 현세에서 염불하는 이가 받는 10종 이익의 하나. 아미타불의 심광(心光)이 염불하는 이를 항상 비퉈 보호해 주는 이익 2015. 5. 25.
삼현(三賢) 삼현(三賢) 소승과 대승에 따라 구별이 있다. 대승은 보살 수행의 지위위 10주, 10행, 10회향 위(位)에 있는 보살을 말한다. 소승은 5정심위(停心位), 별상념주위(別相念住位), 총상념주위(總相念住位)를 말함. 이들은 성위(聖位)에 들어가기 위한 방편위(方便位) 2015. 5. 18.
사수(捨受) 사수(捨受) 3수(受), 5수(受)의 하나. 불고불낙수(不苦不樂受)라고도 함. 몸과 마음에 고통도 즐거움도 느끼지 않는 일종의 감각작용. 관련글 보기 : 수온(受蘊: vedana) 2015. 5. 11.
삼복전(三福田) 삼복전(三福田) 좋은 일을 짓는 대상의 세가지. 보시 할 때에 보시하는 이는 경작자, 보시하는 물품은 종자, 받는 이는 밭으로 함. (1) 비전(悲田: 빈궁자), 경전(敬田 : 불법승 3보), 은전(恩田 : 부모) (2) 보은복전(報恩福田 : 부모), 공덕복전(功德福田 : 3보), 빈궁복전(貧窮福田 : 빈궁자) 복전 (福田) 복전 (福田) 복전 (福田) 복을 낳게 하는 밭이라는 뜻. 부처님이나 비구 등 공양을 받을 만한 법력이 있는 자에게 공양하면 복이 되는 것이 마치 농부가 밭에 씨를 뿌려 다음에 수확하는 것과 같다는 뜻. 이에 studybuddha.tistory.com 2015. 5. 8.
상견도(相見道) 상견도(相見道) 진견도외에 다시 유분별지(有分別智)를 일으켜, 앞서 무분별지(無分別智)로써 증득한 바 진리에 대하여 다시 분별하며 진여의 상(相)을 변하고 진견도에 견주어 이를 관찰하는 지위. ↔ 진견도(眞見道) 관련글 : 분별지(分別智) 무분별지 (無分別智) 2015. 5. 7.
성문승(聲聞乘) 성문승(聲聞乘) 3승의 하나. 성문 지위에 있는 이가 증과(證果)에 이르기 위해 닦는 교법. 곧 고집멸도의 4체법(諦法). 뒤에는 변해져서 성문의 기류(機類)도 성문승이라 한다. 관련글 : 성문(Sravaka 聲門) 2015. 5. 5.
숙명력(宿命力) 숙명력(宿命力) 부처님만이 가진 10력(力)의 하나. 중생들의 지난 세상일을 아시는 부처님의 지혜의 힘. 그 범위는 1세(世)로부터 천만세(千萬世)의 전생을 아신다 함. 관련글 : 숙명통(宿命通) 십력(十力) 2015. 5. 3.
신해행증(信解行證) 신해행증(信解行證) 불도수행의 1기(期). 먼저 법을 믿고 다음에 그법을 요해(了解)하고, 그 법을 의지하여 행을 닦아 마침내 과(果)를 증득 굳은 믿음(信)을 바탕으로 부처님의 가르침을 이해하고(解) 이해한 가름침을 삶속에서 실천하고(行) 마침내 깨달음을 증득(證)하게 된다 2015. 3. 13.
신심탈락(身心脫落) 신심탈락(身心脫落) 선종에서 몸과 마음이 온갖 번뇌 망상에서 벗어나 자유 자재한 경지에 들어감을 말함 2015. 2. 28.
산장(散杖) 산장(散杖) 진언종에서 새수가지(새수加持)에 쓰는 나무. 1척2촌~1척 8촌 되는 막대기로서 한끝에 8엽(葉)의 연꽃을 조각. 이는 인도의 무열지(無熱池)에 나는 연꽃을 모방한 것이라 함. 2015.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