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548 여법(如法) 여법(如法) ① 불법(佛法)에 계합(契合)함. ② 부처님․조사(祖師)가 정한 규율대로 동작하는 것. 2011. 1. 3. 인허(隣虛) 인허(隣虛) 원자(原子)를 말함. 극소(極小)의 물건(物件)을 나타내는데 사용함. 극미(極微). 색법(色法)의 가장 작은 물질. 허공에 이웃한 색법(色法)의 근본. 승륜(勝論) 외도들은 이 인허진(鄰虛塵)이 삼재겁(三災劫)의 마지막 때에도 없어지지 않고, 허공에 흩어져 항상 존재한다고 하며, 불교 소승 유부종(有部宗)에서도 극미(極微)를 실유(實有)라 한다. 이것도 인연으로 된 것이므로 업력(業力)이 다하면 극미(極微)도 없어져서 무상생멸(無常生滅)한다고 한다. 2010. 12. 31. 윤장 (輪藏) 윤장 (輪藏) 전륜장의 약칭. 경전을 넣어 두는 책궤로서 기축을 달아 회전하도록 만들어져 이것을 돌리면 찾는 경전을 자유로이 찾을 수 있음. 양나라 쌍림부대사가 창시하여 후세에 륜장 가운데 부자 三人(부대사와 아들 보건 보성)의 상을 봉안하였음. 우리 나라에는 경북 예천군 용문사에 있다. 관련글 : 윤장대(輪藏臺) 2010. 12. 31. 육종신통(六種神通) 육종신통(六種神通) 여섯 가지의 신통(神通)을 이름. 신(神)은 불가사의(不可思議), 통(通)은 무애자재(無碍自在)의 뜻. ① 천안통(天眼通) ② 천이통(天耳通) ③ 타심통(他心通) ④ 속명통(宿命通) ⑤ 신족통(神足通) ⑥ 누진통(漏盡通) 신통(神通) 2010. 12. 31. 영산 (靈山) 영산 (靈山) 범어 「기암굴」의 역어. 또는 영취·취두·취대·취악·영악이라고도 함. 중인도 마갈타국 왕사성 부근에 있는 산. 산의 모양이 마치 독수리와 같고 또는 산 위에 독수리가 많기 때문에 영취산이라 부른다고 함. 석가여래가 1,200 아라한 제자와 함께 이곳에 상주하면서 법을 설하였다. 이 법회를 영산회상이라고 함. 2010. 12. 31. 열반 (涅槃) 열반 (涅槃) 번역하여 멸도(滅度)․적멸(寂滅)․불생(不生)․무위(無爲)․해탈(解脫)이라 함. 즉 도(道)를 완전히 이루어 번뇌와 고통을 끊고 불생불멸(不生不滅)의 법성(法性)을 증득한 해탈(解脫)의 경지. 관련글 무상열반 (無上涅槃) 해탈(解脫) 무위(無爲) 2010. 12. 31. 업식종자 (業識種子) 업식종자 (業識種子) 제팔아뢰야를 말함. 업식(業識)은 진여(眞如)의 일심(一心)이 무명(無明)의 힘에 의하여 처음으로 기동되는 것. 종자(種子)는 아뢰연기설(賴耶緣起說)의 견지에서 만유(萬有)의 물심현상(物心現象)은 아뢰야식(阿賴耶識)에서 발생하고 전개된다 하며 이것을 내는 마음의 세력이 아뢰야식(阿賴耶識)에 갈무려 있다하여 이것을 종자(種子)라 한다. 관련글 무명 진여(眞如) 아뢰야식 (阿賴耶識) 식(識) 말나식 (末那識) 2010. 12. 31. 악취 (惡趣) 악취 (惡趣) 중생이 악업(惡業)의 인(因)으로 말미암아 태어나는 곳. 즉 지옥(地獄)․축생(畜生) 등. 이에 三惡趣․四惡趣․五惡趣․六惡趣 등이 있음. 중생이 지은 업의 경향을 대충 여섯으로 나누어, 육취 (六趣)라고 하는데 이 육취에 의하여 육도에 나는 것이다. 육취란 천취, 인취, 수라취, 아귀취, 축생취, 지옥취(천취,인취,수라취,아귀취,축생취, 지옥취)를 말하는데 이중 삼악도에 나는 지옥취, 아귀취, 축생취를 악취 라고 한다. 지혜가 없이 악한 업을 많이 지어, 극단으로 고통스럽고 어리석고 복이 없는 보나 따르게 된다 2010. 12. 29. 아귀 (餓鬼) 아귀 (餓鬼) 梵語 「薛荔哆」의 譯語. 三途 또는 六趣의 하나. 항상 굶주려서 얻어먹지 못하는 귀신. 轉하여 慳貪․嫉妬의 비유로도 쓰인다. 아귀(餓鬼 Preta) 생전의 탐욕으로 인한 과보로서 중생이 윤회하는 여섯 세계(六道 : 지옥, 아귀, 축생, 수라, 인, 천)중의 한 세계. 무엇을 먹더라도 곧 불덩이로 변해서 끊임없는 기갈에 시달리며 그 생김새는 배는 큰데 비하여 목구멍 은 바늘만 하다고 함 살아있는 동안 지나치게 욕심을 부려 죽은 후 돌아가게 되는 세계의 하나. 아귀는 먹는대로 불덩어리로 변해서 고통을 받으며 큰 배에 바늘만한 목을 가졌다고 함. 관련글 육도 (六道) 윤회(輪廻) 아귀다툼 침구아귀 2010. 12. 29. 이교 (理敎) 이교 (理敎) 본체와 현상을 다른 것이라 하지 않고 차별 그대로가 평등이라고 말하는 교 2010. 12. 29.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