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48

육유(六喩) 육유(六喩) 경전에서 말한 6종의 비유. ① 반야경의 6유. 夢(꿈)․幻(요술)․泡(물거품)․影(그림자)․露(이슬)․電(번개) ② 정명경의 6유. 幻(요술)․電(번개)․夢(꿈)․焰(불꽃)․水中月(물속의 그림자)․鏡中像(거울속의 영상) 2010. 12. 29.
육물 (六物) 육물 (六物) 比丘가 항상 몸에 지니는 六種의 제구. ① 승가리(大衣) ② 울다라승(中衣) ③ 안타회(下衣) ④ 발다라(應器) ⑤ 니사단(坐具) ⑥ 발리살리대나(록낭)의 여섯 가지 관련글보기 : 발우(鉢盂) 2010. 12. 29.
육미 (六味) 육미 (六味) 여섯 가지의 맛 즉 苦(쓴맛)․酸(신맛)․甘(단맛)․辛(매운맛)․鹹(짠맛)․淡(싱거운맛) 2010. 12. 29.
유통 (流通) 유통 (流通) 바른 법을 무너뜨리지 않는 것을 유(流)라하고, 막히거나 엉기는 곳이 없게 하는 것을 통(通)이라 한다. 2010. 11. 13.
유나 (維那) 유나 (維那) 梵語 「羯磨陀那」의 약칭. 또는 강유·차제·수사·지사·열중·사호라 고도 함. 寺中 삼강의 하나. 사중의 사무를 맡아보는 직임(職任) 대중의 기강을 유지하며 안팎의 절 일을 골고루 관장한다. 관련글 : 삼강(三綱) 2010. 11. 13.
유순(由旬) 유순(由旬) 고대 인도의 거리 단위. 소달구지가 하루에 갈 수 있는 거리로서 80리인 대유순, 60리인 중유순, 40리인 소유순의 세 가지가 있다. 2010. 9. 29.
유정 (有情) 유정 (有情) 범어「살타」의 역어. 정식이 있는 일체 생류를 이름. 당 현장이 「유정」이라 번역하였음. 玄奘 이전에는 「중생」이라 번역하였으나 다 같은 뜻임. 2010. 9. 27.
위타 (韋陀) 위타 (韋陀) 범어「Veda」의 음역. 번역하여 지론·명론·무대라 함. 인도 바라문교의 근본 성전. 인도의 가장 오래된 종교 문헌. 위타는 이곳 말로 하면 지론인데, 이것을 알면 지혜가 생기니 곧 삿된 지혜의 논리(邪智論)이다. 위타에는 네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아유(Rg)위타로서 이곳 말로는 방命 또는 수라 하는데 양생하고 선성을 말한다. 두 번째는 수야(Yajur)위타로서 제사와 기도를 말한다. 세 번째는 바마(Sāma)위타로서 례의와 점복과 병법과 군진을 말한다. 네 번째는 아달바(Atharva)위타로서 기예와 금주와 의방을 말한다. 또는 사명이라 말한다. 첫 번째는 성명으로서 소리를 통한 가르침으로 세간의 문자와 부처님의 말과 훈자를 명확하게 밝히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는 공교명으로서 기술과.. 2010. 9. 27.
원해(願海) 원해(願海) 보살(菩薩)의 서원(誓願)이 갚고 넓음을 바다에 비유한 말. 2010. 9. 24.
요사 (寮舍) 요사 (寮舍) 절에 있는 승려들이 거처하는 집. 스님들이 생활하는 건물을 통틀어서 요사라 한다. 지혜의 칼로 무명을 벤다는 심검당(尋劍堂), 말없이 명상한다는 적묵당 (寂默堂), 참선과 강설의 복합적 의미의 설선당(說禪堂), 올바른 행을 하는 곳이란 해행당(解行堂), 참선하는 곳이란 수선당(修禪堂), 불전에 올리는 공양은 향나무를 때 밥을 짓는다는 향적전(香積殿), 조실 스님이나 대덕스님이 머무는 염화실, 반야실 등의 다양한 명칭이 있다 . 법당은 일반적으로 불·보살님을 모시는 상단,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을 모시는 중단, 영가를 모시는 영단의 삼단구조로 되어 있다. 관련글보기 : 요사채 2010.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