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카99

초발심 초발심 초발심은 일체의 공덕이 다 갖춰져 내가 이미 부처라는 절대확신을 갖는 단초가 된다. 또 수행의 결과에 현격한 차이가 벌어지게 하는 요인이 된다. 그래서 초발심은 일체 중생을 제도하기까지 이 마음을 쉬지 않겠다는 약속이고, 선을 공부한 사람에게는 핵심이 되는 요소가 된다. 초발심자경문 사미가 지켜야할 기본 계율을 적은 규율서.지눌(知訥)의 계초심학인문(誡初心學人文) 신라의 원효(元曉)가 지은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야운(野雲)이 지은 자경문(自警文)을 합본한 책이다. 조선시대 때 합본 된 것으로 추정되나 언제, 누가 합본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계초심학인문 행자의 마음가짐과 지켜야 할 규범, 일반대중이 지켜야 할 준칙, 선방에서 지켜야 할 청규 등이며,발심수행장에는 수행에 필요한 마음가짐이 적혀 .. 2012. 3. 31.
청규(淸規) 청규(淸規) 총림(叢林)에서 쓰는 규칙. 당나라 백장회해선사가 천하의 총림에서 시행할 규칙을 만들고 청규라 했다. 그 뒤에도 여러 스님들이 각기 그 절에서 시행할 규칙을 마련하고 모두 청규라 하였다. 곧 청정한 규칙이란 말. 관련글 보기 : 백장(百丈 720~814) 일일불작 일일불식(一日不作 一日不食) 총림 (叢林) 2012. 3. 9.
칠현(七賢) 칠현(七賢) 칠방현(七方賢) 칠가행위(七加行位)라고도 한다. 소승에서 견도(見道)이전의 수행위를 현위(賢位) 이후를 성위(聖位)라 한다. 현위는 다시 오정심관, 별상염주, 총상염주의 3현과 난법, 정법, 인법 세제일법의 4선근으로 나누어지며 이를 합해 칠현위라 한다. 2012. 2. 9.
칠해(七海) 칠해(七海) 수미산을 중심으로 하여 둘러싸고 있는 칠금산(七金山)의 안쪽마다 8공덕수(功德水)가 고요하게 가득한 바다. 관련글 : 팔공덕수(八功德水) 수미산 수미산(須彌山) 2011. 11. 4.
칭념(稱念) 칭념(稱念) 입으로 나무아미타불을 부르고 마음으로 아미타불을 생각함. 2011. 11. 4.
칠통(漆桶) 칠통(漆桶) 옻칠을 담는 통. 어두운 중생심을 가리키는 말. 선종에서 사리(事理)에 밝지 못하거나 또는 종지(宗指)를 알아 차리지 못하는 사람을 꾸짖는 말 본래 밝은 이 마음이 미혹, 착각, 전도하여 이른바 무명이 덮여 어둑하기가 옷(칠)을 담은 통속과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칠통은 무명(無明)과 같은 말로 쓰인다. 관련글 무명 2011. 11. 3.
천태종(天台宗) 천태종(天台宗) 중국 수(隋)나라의 천태대사(天台大師) 지의(智)를 개조(開祖)로 하는 불교의 한 종파. 후난성(湖南省) 남부 화룽현(華容縣) 출신의 지의는 광주(光州) 대소산(大蘇山:河南省 남단)에서 혜사(慧思)에게 사사하여 선관(禪觀)을 닦고,《법화경(法華經)》의 진수를 터득한 뒤, 진릉(金陵:南京)에서 교화활동을 하여 많은 귀의자를 얻었지만, 575년 38세 때 저장성(浙江省)의 천태산(天台山)으로 은둔하여 사색과 실수(實修)를 닦았다. 이것이 천태종 성립의 단서가 되었으며, 지의는《법화경》에 따라 전불교를 체계화한《법화현의(法華玄義)》천태의 관법(觀法)인 지관(止觀)의 실수를 사상적으로 정립한《마하지관(摩訶止觀)》《법화경》을 독자적인 사상으로 해석한《법화문구(法華文句)》의 이른바 을 편찬하였다. .. 2011. 8. 26.
치 문(緇 門) 치 문(緇 門) 치문이란, “삭발염의(削髮染依) 曰 緇요, 입산수도(入山修道) 曰 門이라”하여 “삭발하고 먹물옷을 입어 입산하여 도닦는 스님들의 문중”이라는 뜻이며, 佛門 혹은 空門과 같은 뜻이다. [치문]이란 책은, [치문경훈警訓]의 약칭이며 중국 역대 고승들의 “후학들에게 경책하는 법어 모음집”이다. 전래를 보면, 唐末 작자미상의 [치림보훈(緇林寶訓)] 1권이 있었는데, 이것을 토대로 1313년 幻住智賢 선사가 北宋. 晉. 隋. 唐. 宋. 明代에 이르기까지 역대 고승들의 유훈과 공경대부의 글을 모아서 [치림보훈]에 증입하니, 제목을 [치문경훈]으로 하여 9권을 만들었다. 그후 명나라때 진여강寺의 여근선사가 [치문경훈 속집] 1권을 증보하니 모두 10권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때 공민왕사 태고보우.. 2011. 6. 8.
천수관음(千手觀音) 천수관음(千手觀音) Sahasrabbuja의 음역. 구족하게는 천수천안 관세음. 천안천비관세음. 대비관음. 6관음의 제 2. 온몸이 황금색. 27면(面)천수천안이 있는 관음보살. 천수상은 두눈 두손 밖의 양쪽에 각각 20수(눈.손)가 있고 손 바닥마다 한눈이 있다. 한손마다 각기 25유(有)를 구제하므로 40수×25=1000수가 되고 눈도 1000안이 된다. 일체중생을 제도하는 작용이 있음을 표한 것. 즉 지옥의 고통을 해탈케하여 모든 원을 성취하게 함. 2011. 6. 8.
힌두교의 메시아 칼키 힌두교의 메시아 칼키 힌두교에서는 세상의 생성과 소멸을 유가의 4주기로 설명한다. 유가의 1신년은 인간세상의 360년에 해당한다. 마치 불교의 정법(正法) 상법(像法) 말법(末法)의 삼시(三時)와 흡사한 것이다. 1기는 크리타유가로 4천8백신년에 해당한다. 정의와 도덕이 세상을 다스린다. 사람은 병에 걸리지도 않는다. 2기는 트레타유가로 3천6백신년이다. 정의와 도덕이 크리타유가보다 4분의 1정도 부족하다. 또한 3기는 드바파라유가로 2천4백신년이다. 세상에서 정의와 도덕이 사라지고 혼란이 격심해진다. 마지막이 칼리유가다. 1천2백신년에 해당한다. 애욕과 환란이 일어난다. 재앙과 기근이 세상 이곳저곳에서 벌어진다. 이른바 말세의 조짐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때 비슈누신은 칼키의 화신으로 등장한다. 칼키는 .. 2011.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