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99

순경(順境) 순경(順境) 제 뜻에 맞는 경계. 이에 의하여 탐욕의 번뇌가 생기게 됨. 몸과 마음에 알맞은 대경. ↔ 위경(違境) 2015. 7. 9.
선사(禪思) 선사(禪思) 선은 범어 선나(禪那)의 준말. 정려(靜慮), 적정(寂靜)의 뜻. 고요히 생각을 가라앉혀 마음을 한 곳에 모아 산란치 않게 하는 것 = 선정(禪定) 관련글 : 선정 2015. 7. 4.
삼유위상(三有爲相) 삼유위상(三有爲相)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사물을 유위(有爲)라 하며 이리하여 생긴 사물은 반드시 인연의 조작이 있으므로 하는 말. 1. 생상(生相) : 미래의 법을 현재에 들어오게 함. 2. 이상(異相) : 법을 쇠태하게 함. 3. 멸상(滅相) : 쇠퇴하다가 결국은 파멸하게 함. 과거에 낙사(落謝)하게 함 관련글 : 유위(有爲) 이상(異相) 2015. 7. 3.
상법(像法) 상법(像法) 3시(時)의 하나. 정법 시대와 비슷한 시기라는 뜻. 부처님 멸도 후 500년(혹은 1,000년)의 정법 시기가 지난 뒤의 1,000년 동안. 정법 때에는 교(敎), 행(行), 증(證)이 갖추어 있지만 상법 때는 교와 행만 있다고 함. 관련글 : 삼시(三時) 정법(正法) 2015. 6. 28.
생공(生空) 생공(生空) 인공(人空) 또는 아공(我空)이라 함. 상일주제(常一主帝)의 뜻을 가진 아(我)가 있다고 하는 주관적 아집(我執)을 없애기 위하여 공(空)하다고 말하는 것 관련글 : 삼공 (아공我空․법공法空․구공俱空) 아집(我執) 2015. 6. 25.
사비량(似比量) 사비량(似比量) 비량(比量)과 비슷하나 그릇된 것. 안개를 연기인 줄 잘못 알고 거기에 불이 있다고 여기는 따위 ↔진비량(眞比量) 관련글 : 비량(比量) 진나(陳那 Dinnaga) 오종비량(五種比量) 삼비량(三比量) 법비량(法比量) 업비량(業比量) 2015. 6. 22.
삼종(三從) 삼종(三從) 1. 여자가 처녀 때는 부모를 따르고 2. 결혼해서는 남편을 따르고 3. 남편이 죽은 뒤에는 자식을 따르는 것. 2015. 6. 20.
삼승교(三乘敎) 삼승교(三乘敎) 성문·연각·보살의 근기마다 그에 대한 교법이 다름을 인정하고 그 수행·증과(證果)에 차이가 있다고 하는 교법. 관련글 : 삼승(三乘) 2015. 6. 15.
성중(聖衆) 성중(聖衆) 성자(聖者)의 군중. 권속성중(眷屬聖衆) 또는 성중의 보살이라고 하나, 본불(本佛)을 따라다니는 여러 성자 2015. 6. 14.
승의법(勝義法) 승의법(勝義法) 택멸열반(擇滅涅槃)을 말함. 그 자성이 선(善)이고 상주 불변하며 실체가 있으므로 이렇게 이름. 201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