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578 결계 (結界 Simabandha) 결계 (結界 Simabandha) 일정한 지역을 가려서 구획을 지음. 교단에 소속된 승니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어느 일정한 지역을 한정하는 것. 승니가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계율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지역을 구회 제한한다. 1) 불도를 수행하는데 장애를 없애기 위해서 비구의 의식주를 제한하는 것. 곧 일정한 장소에 거처하는것, 남은 음식을 간직하여 두지 않는 것, 옷을 벗지 않는 것. 2) 마군(魔軍)의 장남을 없애기 위해여 인명법(印明法)에 따라 제정한 도량의 구역. 이것은 밀교에서 쓰는 법으로 주로 도량의 정결을 그 목적으로 한다. 3) 결계지(結界地)의 준말. 수도에 방해 될만한 것을 들이지 않는 곳. 가령 어떤 절에 여자의 출입을 금하는 따위 2011. 4. 29. 결가부좌 반가부좌 결가부좌 반가부좌 불교가 여타 종교와 다른 점 중에서 두드러진 것이 앉는 자세다. 다른 종교들이 대개 의자에 앉는데 비해 불교는 주로 바닥에 앉는다. 그러다보니 다양한 앉는 자세가 나오게 되었다. 이중 결가부좌(結跏趺坐)와 반가부좌(半跏趺坐)는 불교수행의 가장 기본적인 자세라 할수 있다. 여기서 가(跏)는 발바닥이요 부(趺)는 발등을 의미한다. 결가부좌는 항마좌(降魔坐)와 길상좌(吉祥坐)로 나눈다. 항마좌란 먼저 오른발을 왼쪽 허벅지위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나서 왼발을 오른쪽 허벅지위에 올린다. 보통 수행의 좌법(坐法)이라고 한다. 길상좌는 그 반대로 먼저 왼발을 오른쪽 허벅지위에 올린다. 이후 오른발을 왼쪽 허벅지위에 올리면 된다. 법을 성취하신 부처님의 좌법이라고 한다. 그래서 결가부좌를 여래좌(如來.. 2011. 4. 29. 계율(戒律) 계율(戒律) 계율의 어원은 산스크리트의 ‘실라(sila:戒)’와 ‘비나야(vinaya:律)’이다. 계(戒)는 실라(sila: 戒)로서 악을 그치고 그름을 예방하는 것(防非止惡)이고, 율(律)은 범어 우바라샤(upalaksa). 비나야(vinaya)로서 법률의 뜻이다. 그러므로 계율은 5계 10선 내지 250계등의 법률로서 불교도들의 그릇된 생활을 예방하고 악한 마음을 방지하는 것이다. 1) 인간완성의 수행생활의 규칙, 일반적으로는 도덕적인 덕을 실현하기 위한 수행상의 규범. 2) 계와 율의 합병어. 3) 초기 불교 교단이 점점 커짐에 따라 수행의 방편과 교단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조금씩 제정해 나갔다. 불교 교단이 확립되면서 교단의 질서유지를 위해 여러 가지 규율조항이나 위반했을 때의 벌칙을 만들었는.. 2011. 4. 26. 견지(見地) 견지(見地) 보살의 계위의 하나. 3승 공통의 10지에서의 제4위로서, 성문승의 예류과에 해당한다. 4체의 도리를 보고 3계의 견혹을 끊고, 비로소 성자의 과보를 얻은 위. 또 무루지를 얻어 진체의 도리를 보는 위. 곧 견도. 2011. 4. 24. 견애번뇌 견애번뇌 진실의 이법에 헤매는 지적인 번뇌와 구체적인 개개의 사상에 얽매여 헤매는 정의의 번뇌. 견은 견혹으로서 미리의 혹, 견도에서 끊어지는 번뇌. 애는수혹으로서 미사의 혹, 견도 다음의 수도에서 끊어지는 번뇌. 견도는 보살의 초지, 수도는 그 이후. 2011. 4. 23. 견고법신 견고법신 그 무엇에게도 파괴되지 아니하는 진실의 부처의 본체. 자기 마음 속에 존재하는 진실 견고한 상주의 부처. 2011. 4. 23. 견경 견경 원력을 일으켜 보고 이 몸은 헛된 것이라고 겸손하며 법을 공경하는 마음. 육안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보는 것. 그 도리를 마음에 생각해 보는 것을 '본다'고 한다. 2011. 4. 23. 구경위(究竟位) 구경위(究竟位) 무상지극의 위. 불과의 위. 묘각의 불과. 궁극의 청정으로서 더 그것을 뛰어넘은 것은 존재하지 아니한다. 모든 번뇌를 끊어 없애고 진리를 증득하여 최종의 불과(佛果)에 도달한 지위. 청정하고 위없고 지극한 자리 2011. 4. 20. 견결 견결 9결의 하나. 사악한 견해라는 번뇌. 5견 중에서 자기의 몸을 '나' 또는 '나의 것'으로 보는 견해. 몸은 상주의 것 또는 단멸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 원인과 결과와 작용과 존재의 법을 부정하거나 사악하게 생각하는 견해의 3혹을 말한다. 2011. 4. 17. 격의 격의 불교 외의 모든 종교의 관념에 불교의 술어를 적용하여 불교를 이해하는 것. 중국에 불교가 전래한 당초, 반야의 공을 노장사상에 의하여 미루어 설명한 학풍을 말한다. 2011. 4. 17.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58 다음